grrr | ni hao | 00:40 |
---|---|---|
=== grrr is now known as Guest26678 | ||
Guest26678 | 1 | 00:54 |
Guest26678 | 1 | 00:54 |
grrrrr | oops | 00:56 |
grr | ni hao | 01:37 |
yemharc | 안녕하세요 | 01:41 |
grr | ni hao | 01:43 |
Ben5 | 니하오 | 02:06 |
Ben5 | ㅋㅋ | 02:06 |
stack_ | 세세 짜이찌에 | 02:06 |
Ben5 | 저는 여기가 한계.. ㅋㅋ | 02:08 |
stack_ | 세세 짜이찌에....란 예전에 기차가 역에 도착하지전에 샬라샬라 뭐라한다음 마지막에 꼭 하는말 | 02:09 |
stack_ | 우리나라말로 매우 감사합니다...정도가 아닐지 | 02:10 |
grr | /.\ | 02:12 |
grr | 저도 nihao xiexie 가 끝 | 02:12 |
grr | 게임에서 저렇게 하면 중국인인줄 알거든요.. (...) | 02:12 |
grr | 중국인 따라하다보니 -_-; | 02:12 |
yemharc | 과연 | 02:13 |
yemharc | 짱개 취급받고 척살당하는거군요 | 02:13 |
yemharc | /.\ | 02:13 |
grr | /.\ | 02:32 |
grr | 전 디아블로를 제외하고는 non-pk 만 하는지라.. | 02:34 |
stack_ | 여기에선 ... /.\ 가 를 주로 사용하는군요...ㅋ | 02:34 |
stack_ | 음 조사가 중복되었다 | 02:34 |
grr | /.\ | 02:40 |
grr | /_\ | 02:40 |
grr | 남들이 안쓰는걸 씁니다 /_\ | 02:40 |
yemharc | 음 | 02:44 |
yemharc | 데탑용 APU가 나오는군요 | 02:44 |
cartes9 | 코드 카타인가가 뭔지 정확히 몰르겠네용 | 02:46 |
yemharc | 코드명 라노 (Llano) | 02:47 |
grr | 자카테 | 02:49 |
yemharc | 자카테는 모바일 APU | 02:49 |
grr | 아아 | 02:49 |
grr | 대탑용도 나오는구나... | 02:49 |
yemharc | 네 | 02:49 |
grr | 제 컴퓨터도 좀 바꿔야 하는데 총알이 ㅜㅜ | 02:51 |
grr | 패넘1 x3 트리플코어... | 02:52 |
grr | 잉여성능임 | 02:52 |
yemharc | <-데탑없는 기간 15년 | 02:55 |
grr | .. | 02:56 |
grr | 디아3가 나오기전엔 바꿔야 합니다. ㅇㅅㅇ | 02:56 |
yemharc | 그건 동의합니다만 개인적으로 SOS가 나오기를 바랍니다 (...........) | 03:00 |
cartes9 | http://projecteuler.net/index.php?section=problems&id=2 | 03:01 |
cartes9 | 이거 하고 노실분 | 03:01 |
grr | exit | 03:07 |
cartes9 | yemharc님 | 03:16 |
yemharc | 네? | 03:17 |
jincreator | 안녕하세요. | 03:21 |
yemharc | 안녕하세요 | 03:22 |
jincreator | 네, 안녕하세요. | 03:22 |
cartes9 | yemharc, jincreator // http://projecteuler.net/index.php?section=problems | 03:25 |
cartes9 | 같이 이거 하고 놀아요 | 03:26 |
cartes9 | 코딩수련 | 03:27 |
jincreator | 수학이 많으면 곤란한데...알고리즘은 POJ가 유명하지 않나요? | 03:28 |
cartes9 | POJ라는 사이트가있어요? | 03:29 |
jincreator | 북경대에서 제공하는 Online Judge 입니다. http://poj.org/ | 03:29 |
cartes9 | 봤는데 다 영어죠? | 03:32 |
cartes9 | 한문이 섞여있어서 잘몰르겠.. | 03:32 |
yemharc | /.\ 어이구 전 알고리즘 같은거 몰라요 | 03:32 |
jincreator | 네, 영어에요. 중국어면 곤란하죠. | 03:32 |
jincreator | 제가 알고리즘을 잘 알면 이런 사이트 들어갈 일이 없겠죠. :) | 03:32 |
grr | oops | 04:00 |
grr | 에구.. centos 어렵다... | 04:06 |
yemharc | 읭 | 04:06 |
yemharc | 센트는 레뎃이랑 똑같잖아요 | 04:06 |
cartes9 | CentOS책 만 사놓고 보지도 않았음 | 04:11 |
cartes9 | yum이랑 apt-get | 04:11 |
cartes9 | 이런거 다시 봐야하는데 말이죠 | 04:11 |
stack_ | 통닭이 먹고 싶네요... | 04:13 |
yemharc | yum update -y | 04:14 |
stack_ | yum -y update....음..헷갈린다...ㅋ | 04:14 |
yemharc | 한가지 확실한건 yum이 apt보다 편의성이 떨어집니다 | 04:15 |
yemharc | 명령어는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| 04:15 |
yemharc | yum을 쓴다 -y라고 대답한다 update할때 | 04:15 |
stack_ | apt랑 순서가 틀렸던것 같은데....음...잘 생각이 안나에 | 04:16 |
stack_ | 매일 쓰고있으면서도 | 04:16 |
yemharc | 무슨 순서요? | 04:16 |
stack_ | -y 를 어디에 붙여야 되는지... | 04:16 |
yemharc | 컴퓨터는 의외로 말을 잘 알아듣습니다 | 04:16 |
yemharc | yum -y update == yum update -y | 04:17 |
stack_ | 같았구나..ㅋ | 04:17 |
yemharc | 리눅스 명령어는 인자값을 제외하면 옵션의 순서는 상관없어요 | 04:17 |
yemharc | apt-get install package -f == apt-get install -f package | 04:17 |
yemharc | 이런 식이죠 | 04:17 |
stack_ | apt도 같겠군요 | 04:17 |
stack_ | 재미있네요...ㅋ | 04:18 |
yemharc | 다만 옵션에 대한 인자값이 필요한 경우는 예외에요 | 04:18 |
yemharc | nmap로 포트스캔을 한다고 하면 | 04:18 |
yemharc | nmap -p 21 localhost | 04:18 |
yemharc | 같은 경우 -p 다음에는 무조건 포트 번호가 와야하죠 | 04:18 |
stack_ | 재미있군요....리눅스... | 04:21 |
stack_ | 확실히 윈도우보다는 흥미진진 | 04:21 |
yemharc | 오토마타......라고 하는데, 굳이 말하면 언어 해석 알고리즘입니다 | 04:21 |
yemharc | 상당히 똑똑해요 | 04:21 |
stack_ | c로 만들어진 알고리즘 인가요? | 04:22 |
yemharc | 그건 만들기 나름이에요 | 04:22 |
yemharc | 리눅스의 경우에는 bash쉘이라 C로 구현되었죠 | 04:22 |
stack_ | 리눅스의 경우엔 | 04:22 |
stack_ | 그렇군요 | 04:22 |
stack_ | 제 경력이나 지식으론 리눅스를 논하기엔 아침 한참 부족한것 같네요 | 04:23 |
yemharc | 그런건 별로 중요하지 않아요 | 04:23 |
stack_ | 하지만 재미있는건 사실 | 04:23 |
yemharc | 예를들면 포럼에 tkpark라는 분이 계신데 | 04:24 |
yemharc | 60대 정도 되시는걸로 아는데 그 나이에 시작해서 엄청나게 성장(?)하고 계시죠 | 04:24 |
yemharc | 대단하신 분이에요. | 04:24 |
stack_ | 성장...구체적으로? | 04:24 |
yemharc | 빠르고 늦고 문제가 아니라 배울 생각이 있냐 없냐의 문제죠 | 04:25 |
yemharc | 배우는게 빨라요 ㅎ | 04:25 |
stack_ | 그렇군요 | 04:25 |
stack_ | 저도 사실은 반년전에 지금 회사로 왔는데 | 04:25 |
stack_ | 매일 리눅스만 만져서...아직 6개월인데도 흥미진진합니다 | 04:25 |
yemharc | 갖고 놀기엔 정말 좋은 물건이긴 하죠 | 04:26 |
stack_ | 하고 싶었던게 리눅스랑 클라우드 였는데 | 04:26 |
stack_ | 그렇죠 | 04:26 |
stack_ | 그런데 한국의 클라우드 시장형성이 어떻게 되어있나요? | 04:27 |
yemharc | 그런거 없고 그냥 웹하드 시장에 편입상태에요 (........) | 04:27 |
stack_ | 뉴스에 나오는 그런게 아닌 실제 현장 엔지니어들이 인식하고 있는 | 04:27 |
yemharc | 엔지니어로 가면 모르겠지만 개발자로 가면 클라우드가 뭥미? 하는 케이스도 상당히 많습니다 | 04:27 |
stack_ | 클라우드...솔직히 새로운 상품화를 위한 단어라고 솔직히 개인적으론 생각 | 04:28 |
stack_ | 웹하드의 경우엔 | 04:28 |
yemharc | 대부분의 신기술이 그런 식입니다 | 04:28 |
yemharc | Ajax가 그 대표격이구요 | 04:28 |
stack_ | 팔리니깐!!! 이죠..ㅋㅋ | 04:28 |
yemharc | 사실 클라우드는 쉽게 말하면 웹하드에 다중 동기화 기능을 얹은겁니다 | 04:29 |
yemharc | 다 기존에 있던 기술을 믹싱한거죠 | 04:29 |
stack_ | 다중 동기화 = 어디서든 접근 가능 | 04:30 |
stack_ | 어디서든 접근가능하니 클라우드.... | 04:30 |
stack_ | ㅋ | 04:30 |
yemharc | 그건 솔직히 모르는 사람에게 피부에 와 닿게 하기 위한 선전문구에 가깝죠 | 04:30 |
stack_ | 뭐 새로운 상품화를 위한 단어 선택이죠 | 04:30 |
yemharc | 클라우드의 포인트는 어디서든 써먹을 수 있다는 웹하드 스러운게 아니라 | 04:31 |
yemharc | 동시에 여러명이 하나의 대상에 접근할 수 있다죠 | 04:31 |
stack_ | 1.어디서든 접근가능...스마트폰이라든지 노트북이라든지 | 04:31 |
stack_ | 2.동시에 여러명이 하나의 대상에 접근가능 | 04:32 |
stack_ | 그런데 실제론 모르는 사람들에겐 1을 더 강죠하고있죠 | 04:32 |
stack_ | 마치 새로운 개념인것 처럼 | 04:32 |
stack_ | 강조 | 04:32 |
cartes9 | 아 IPTIME공유기로 묶여있는 | 04:35 |
cartes9 | 파일공유네트워크내에선 | 04:35 |
cartes9 | 동시에 여러명이 하나의 대상에 접근 못하나요? | 04:35 |
cartes9 | 쓰기는 하면 곤란할것 같지만 | 04:36 |
cartes9 | 읽기는 가능할것 같은데용 | 04:36 |
stack_ | 위의 말씀이 모두 맞다고 생각합니다만... | 04:37 |
yemharc | 어..........뭐라고 해야하나 | 04:39 |
yemharc | 그런 access 라는 의미의 접근이라기보다 | 04:39 |
yemharc | 문서 A를 3명이 편집을 하는데 | 04:39 |
yemharc | 1은 A 2는 B 3은 C를 입력합니다. | 04:40 |
yemharc | 그럼 상대가 입력하고 있는 부분이 거의 실시간으로 내가 작업하고 있는 화면에 나타나는거죠 | 04:40 |
stack_ | 음....그런 파일시스템이 존재하나요? | 04:40 |
yemharc | 이건 파일시스템이랑은 별로 상관이 없어요 | 04:40 |
yemharc | 그래서 클라우드(구름)라고 하는거구요 | 04:41 |
yemharc | 이건 실제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게 아니라 | 04:41 |
yemharc | 그 파일의 더미를 허공에 띄워서 주물떡 한 뒤에 저장할 때에 실제 파일에 기록합니다 | 04:41 |
yemharc | 그리고 서로 다른 결과를 동시에 저장을 하면 여러가지 요인으로 순서가 정해지고 그 차례대로 순차처리를 하는거죠 | 04:41 |
yemharc | (인터넷 속도 등) | 04:41 |
yemharc | 좀 어거지 설명을 덧붙이자면, RAM은 동시에 접근이 가능하죠? | 04:42 |
yemharc | 그거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요 | 04:42 |
stack_ | 더미에 상대방이 입력한 예를들어 a가 실시간으로 보인다는게 이해가 안가는데요...더미들끼리의 동기화? | 04:42 |
yemharc | 자........C언어를 예로 들어서 | 04:43 |
yemharc | 각각의 다른 프로그램 3개가 있습니다. 그리고 이 녀석들이 똑같은 메모리 주소를 계속해서 읽어들여 화면에 출력한다 칩시다 | 04:43 |
yemharc | 그럼 여기에 누군가가 수정을 가하면 값이 바뀌겠죠? 근데 3개의 프로그램이 읽어들이는 주소값은 같으니 값은 바뀌더라도 세개가 다 같은 출력을 보여주겠죠 | 04:43 |
stack_ | 음...그런데 이럴경우 데이터의 正값은 누가 결정을 하나요? | 04:44 |
stack_ | 데이터의 ,.,,,,우리나라말로 잘 모르겠는데..정합성이라고하나요? 이런걸? | 04:45 |
yemharc | 클라우드는 각각의 개인계정을 할당하죠. 왜 할까요 :) | 04:45 |
yemharc | 개인계정을 할당하고, 해당 계정의 파일등을 선택해서 public공개나 group공개등을 할 수 있습니다. | 04:46 |
yemharc | 그리고 그렇게 공개한다 해도 파일의 소유주는 자신이죠 | 04:46 |
yemharc | 음...이건 실제 구글docs를 써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말로는 애매하네요 | 04:46 |
stack_ | 직접 경험해 보는것이 빠르겠네요.../. | 04:47 |
yemharc | 네, 근데 말로 하니 복잡하지 원리는 간단해요 | 04:47 |
yemharc | 위키를 생각하세요 | 04:47 |
yemharc | 다만 위키에서는 페이지 수정 중에는 다른 사람이 손댄 부분은 안 보이죠? | 04:48 |
yemharc | 그걸 보이게 해 준거에요 | 04:48 |
stack_ | 그렇군요 | 04:49 |
stack_ | 전혀 다른 질문.....해도 될까요? | 04:51 |
yemharc | 네 | 04:52 |
stack_ | 한국의 아이티 벤쳐기업의 일하는 분위기는 어떤가요? 물론 회사마다 다른부분이 분명이 있지만. | 04:52 |
stack_ | 예를들어.... | 04:52 |
stack_ | 1.일을 많이 시킨다,. | 04:52 |
stack_ | 2.일 시켜주세요 할때까지는 방치? 한다. | 04:53 |
yemharc | 음...제가 벤처기업에서 일해본 적이 없어서 뭐라 말을 못하겠네요;; | 04:53 |
stack_ | ㅡ,.ㅡ;; | 04:53 |
yemharc | 근데 회사마다 틀릴거에요 | 04:53 |
stack_ | 그렇죠 틀리죠..oez | 04:54 |
stack_ | orz | 04:54 |
yemharc | 그리고 벤처와 중소기업의 구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봐요 | 04:54 |
stack_ | 너무 당연한걸 물어봤나 | 04:54 |
stack_ | 기준이 뭔가요? | 04:54 |
yemharc | 사람마다 틀리겠지만 제가 느낀 바로는 | 04:54 |
yemharc | 중소기업은 기존의 기술에 대한 인력을 확보한 기업이고 | 04:54 |
yemharc | 벤처는 기존에 없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업이죠 | 04:55 |
yemharc | 사실 [없는]은 좀 비약이고 R&D가 중점이냐 비즈니스가 중점이냐 라고 보는게 맞을겁니다 | 04:55 |
stack_ | 우리나라에서 벤처라고 불릴수 있을만한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? | 04:55 |
yemharc | 그건 알아봐야 할거같네요 ^^;; | 04:56 |
stack_ | ㅡ,.ㅡ;; | 04:56 |
yemharc | 음, 저도 잠시 점심을.... | 04:56 |
stack_ | 네 저도 | 04:56 |
drake_kr | 아죽것당 | 05:53 |
grr | /.\ | 05:57 |
drake_kr | 일단 폰으로 ubuntu.or.kr 접속해보시고 문제점좀 말씀해주세연 | 05:58 |
yemharc | testing... | 05:59 |
grr | centos vmware에서 bridge 안먹힌다.. | 06:00 |
grr | 우분투는 곱게 되던데 쩝... | 06:00 |
drake_kr | yemharc 님은 centos 피해자. | 06:00 |
yemharc | drake_kr, 페이지 아주 깔끔합니다 | 06:01 |
yemharc | 그리고 피해자가 아니라 최대 피해자입니다 | 06:01 |
yemharc | orz | 06:01 |
yemharc | 센트따위 얼른 망해버려 (침울) | 06:01 |
drake_kr | 센트가 얼마나 좋은데 | 06:01 |
drake_kr | 왜그래염 | 06:01 |
drake_kr | 쓰기나름 | 06:01 |
grr | 잉폰에서 잘나옮 | 06:02 |
drake_kr | 아니 문제점좀 봐달라고 | 06:02 |
drake_kr | 로그인이라던가 | 06:02 |
yemharc | 모토쿼티 겔S 겔2 겔GIO 옵Q 옵원 옵빅 옵black 완료 | 06:02 |
yemharc | (테스트 폰의 위엄) | 06:02 |
drake_kr | 웡 | 06:03 |
grr | 우월자시다.. | 06:03 |
drake_kr | 어차피 아잉폰 3gs에서 되면 해상도 문제는 크지 않을거라고 봄.. | 06:04 |
yemharc | 참고로 쿼티는 이미 쿠키로 자동로긴 상태고, active스레드 제대로 출력되고 있습니다. | 06:04 |
yemharc | 알록달록 하네요 | 06:04 |
drake_kr | 일단 제가 만든것은 아니고 | 06:04 |
drake_kr | 갖다썼을뿐.. | 06:04 |
drake_kr | 로그인이라던가.. 잘 안보인다던가.. | 06:04 |
drake_kr | 일단 저도 밥을 좀 먹고 오겠습니다.. | 06:05 |
yemharc | 아 근데 | 06:05 |
yemharc | 게시판별 글타래 수 표시되는건 일괄적으로 없애는 게 나을듯 하네요 | 06:05 |
yemharc | 게시판 이름 길이에 따라 표시되고 안되고 해서 들쭉날쭉해요 | 06:05 |
grr | 잉폰은 이쁘게 나옵미다 | 06:06 |
yemharc | 나오는건 다 깔끔하게 잘 나와요 | 06:07 |
yemharc | 근데 그 게시판별로 글타래 수 표시하는 부분이 잘리게 되면 아예 표시를 안하게 되어 있는거 같은데 | 06:07 |
yemharc | 그래서 되려 통일성이 없어서 안예뻐 보여요 | 06:08 |
grr | 아아.. | 06:10 |
yemharc | 넷북에 안드로이드를 설치하면 전원버튼으로 sleep 모드로 가 줄까요 (......) | 06:24 |
grrr | oops | 06:28 |
=== grrr is now known as Guest67095 | ||
Guest67095 | exit | 06:29 |
Guest67095 | .. 접속후에 nick을 바꾸는 명령어가 있나요? | 06:29 |
stack_ | 한가지 질문해도 될까요? | 07:01 |
stack_ | 서버가 갑자기 열때문에 다운이 되었을때...전원도 꺼진상태 | 07:02 |
stack_ | 전원을 넣은후 흔히들 | 07:02 |
stack_ | 어떤식으로 시스템을 검사하나요? | 07:02 |
stack_ | fsck를 먼저 하시는지? | 07:03 |
imsu | 안녕하세요 ^^ | 07:19 |
yemharc | stack_, 외부 장치로 부팅 -> fsck검사 -> 디스크 마운트 -> 부팅 | 07:32 |
imsu | yemharc, 음?? 외계어? ㅎㅎ | 07:45 |
stack_ | yemharc, 외부 장치로 부팅은 보통 어떤 방법을 쓰시나요? | 07:48 |
yemharc | usb나 CD죠 | 07:54 |
yemharc | 한때는 탈착식 FDD로 보안 한번 쩔게 해보자 하는 때도 있었지만 | 07:55 |
yemharc | 이건 보안이 너무 완벽해서 관리자도 접근 불가능한 사태가 심심치 않게 발생... (디스크 고장 1순위, 분실 2순위) | 07:56 |
drake_kr | 아 | 07:57 |
drake_kr | 개봉동 가야는데 | 07:57 |
drake_kr | 조낸 가기싫 | 07:57 |
yemharc | 일 때문에 가시는군요 | 07:58 |
drake_kr | ... | 07:58 |
drake_kr | 술 마시러 간다해도 가기싫을듯.. | 07:58 |
yemharc | 전 점점 엄한 일을 하고 있어요 | 08:00 |
drake_kr | 이직준비하셔야.. | 08:00 |
yemharc | 다음주 수요일에는 사내 보안담당 책임자로서 SKT가 주최하는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교육을 들으러 가라는군요 (..........) | 08:00 |
drake_kr | 싫다고 확실히 말하세요 | 08:01 |
drake_kr | 포지셔닝 어정쩡하면 일은 일대로 하고 욕은 욕대로 다 먹습니다 | 08:01 |
yemharc | 대신 그날은 출근 안하고 오후 1~3시까지 교육만 받고 끝. | 08:01 |
drake_kr | 하루 편한것 때문에 그 이후 생각을 안 하시면 안되죠 | 08:02 |
yemharc | 어정쩡해지는건 정말 문제조 | 08:02 |
yemharc | 죠 | 08:02 |
yemharc | 근데 아예 이참에 서버개발로 가버릴까 하고 있어요 | 08:02 |
yemharc | 일단 연봉도 높고 (...) | 08:03 |
drake_kr | 서버 개발이면 pure gcc 개발자가 되시겠군요 | 08:03 |
grr | oops | 08:03 |
drake_kr | wth | 08:03 |
drake_kr | 아 오늘은 정말.. | 08:03 |
grr | wth == what the hell ?? | 08:03 |
drake_kr | ㅇㅇ | 08:03 |
yemharc | 허나 내맘대로perl 이 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(먼산)( | 08:03 |
drake_kr | 후임자는 그걸 보고 어떤 생각을 할까요 | 08:04 |
yemharc | ........퍼포먼스따위 | 08:04 |
drake_kr | 뻘짓을 하시겠다는건데.. | 08:04 |
yemharc | 후임자가 보면 뻔하죠 뭐 | 08:04 |
yemharc | "이래서 내가 왔구나" | 08:04 |
grr | /.\... | 08:04 |
yemharc |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| 08:04 |
grr | 무슨 사업(?)을 벌이셨길레... | 08:04 |
yemharc | 아뇨 벌인건 아니고;; | 08:05 |
drake_kr | grr :: 서버 개발자 -> 이용언어 perl | 08:05 |
yemharc | 클라->서버로 전향할까 하는 | 08:05 |
drake_kr | grr :: 6월 정기모임에서 일빠로 yemharc님이 사용자관점을 중시하도록 하자 | 08:05 |
grr | ... | 08:05 |
drake_kr | grr :: 근데 두번째 발표에서 정규표현식 나옴 | 08:05 |
yemharc | orz | 08:05 |
grr | perl 사용 서버개발자.. | 08:05 |
grr | GG | 08:05 |
yemharc | grr, 역시 서버 친화적으로 가려면 쉘스크립(탕!!) | 08:06 |
drake_kr | yemharc :: 회사 x돼봐라 하고 c# 어때요 | 08:06 |
grr | 좋다 그거 | 08:07 |
yemharc | ㅋㅋㅋㅋㅋㅋ | 08:07 |
grr | 메모리 릭 안남 ㅋㅋㅋ | 08:07 |
yemharc | 그럴거면 하스켈로 하고 말죠 | 08:07 |
yemharc | 서버개발자+하스켈 가능자 조건이면 | 08:07 |
yemharc | 우 토나왘ㅋㅋㅋㅋㅋ | 08:07 |
drake_kr | c# 개발자는 많지요 | 08:07 |
drake_kr | 문제는 라이센스 비용 ㅋㅋ | 08:07 |
yemharc | 그리고 우리 개발자들은 윈도없이 C#개발하고?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| 08:08 |
drake_kr | ㅇ ㅅㅇ | 08:08 |
yemharc | C# 개발툴을 생각하세요 | 08:10 |
yemharc | 그리고 전 개발자들 컴에서 윈도를 뺐죠 | 08:10 |
drake_kr | 아 | 08:13 |
drake_kr | 서버를 objc로 작성하는것도 재밌겠다.. | 08:13 |
grr | 자바..? | 08:14 |
grr | (...) | 08:14 |
drake_kr | objective-c++ | 08:14 |
yemharc | 음.........obj라........ | 08:14 |
yemharc | 성능만 나와준다면 언어 하나 배워서 뽕(?!)을 뽑을 선택이네요 | 08:15 |
yemharc | 서버 개발하고 아이폰 개발하고 (.........) | 08:15 |
drake_kr | 기본적으로 | 08:16 |
drake_kr | 같은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갤2보다 아이폰3gs가 더 빠른걸 보면 | 08:16 |
drake_kr | 퍼포먼스에 대한 고민은 안해도 될듯여 | 08:17 |
yemharc | 그건 아이폰이 잘 만든건지 겔2가 못 만든건지부터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듯요;; | 08:18 |
drake_kr | 하드웨어스펙 어쩔.. | 08:18 |
yemharc | 진짜 하드웨어 스펙부터 여러가지로 겔2가 훠어어어어어얼씬 좋은데 | 08:19 |
yemharc | 막상 두 기종간의 퍼포먼스를 따져보게 되면 체감성능은 아이폰 압승 | 08:19 |
drake_kr | ㅋㅋ | 08:21 |
drake_kr | 본격 일본에 대한 환상이 깨지는 동영상 http://drake.kr/59339 | 08:21 |
grr | native 짱 | 08:22 |
grr | 그러고보니 | 08:26 |
grr | 세종대 인턴들 있을때 한 형이 디파이를 샀었는데 가용메모리가 어쩌구 저쩌구 그러면서 이게 메모리가 작아서 스크롤하면 끈긴다면서 | 08:27 |
grr | 저보고 니꺼 메모리 현재 남은거좀 보자 해서 보니까 4mb -_- | 08:27 |
yemharc | 멋진 요금징수단체 | 08:27 |
grr | 그런대 스크롤 전혀 안 끊김.. | 08:27 |
yemharc | 디파이 가용메모리 같은소리 하고 앉았네 -_-..... | 08:27 |
grr | 3년된 기기인데 아직 현역인 3gs ㅋㅋㅋ | 08:28 |
yemharc | 그럼 지금 내 눈앞의 겔2 남은 메모리 170M인데 홈딜 있는건 어쩔거냐 | 08:28 |
yemharc | (.............) | 08:28 |
grr | 3gs 공짜로 풀꺼라는 루머가 있더군요 | 08:28 |
drake_kr | htc는 그런면에서 조금은 최적화가 되어 있는가요 | 08:28 |
grr | 뭐.. 약정이겠지만.. | 08:28 |
yemharc | 3gs 좀 상향한거 저가형 모델로 내놓을 계획이랩니다. 20만원 정도로 | 08:28 |
grr | 보급형 짱먹겠네.. | 08:28 |
yemharc | 네 | 08:29 |
yemharc | 보급형 뭐 좋아요 하던 질문이 '3gs보급형 언제 나와요'로 다 바뀌었죠 | 08:29 |
yemharc | HTC는 그나마 최적화 좀 해서 냅니다 | 08:29 |
yemharc | 근데 넥원은 실패작 | 08:29 |
drake_kr | 넥원은 최적화를 htc에서 한게 아니지 않은가요 | 08:29 |
grr | 넥원은 실패작, HD2는 명작...? | 08:29 |
drake_kr | 만약 그렇다면 넥S 역시 ㅄ이어야 맞는건데.. | 08:30 |
grr | 넥원은 터치버그가 쩐다던대 직접 안봤으니 뭐라 말을 못하겠네요 | 08:30 |
grr | 갤럭시 시리즈는 괜히 제 느낌탓인진 모르겠는데 터치가 뭔가 조금 다른것 같아요 | 08:30 |
grr | 뭔지는 모르겠는데 뭐가 미묘하게 거슬리는 무언가... | 08:31 |
drake_kr | 손톱터치가 되는 옴니아가 짱임 | 08:31 |
yemharc | 넥원이랑 넥s는 제조사도 틀리고 최적화 한 곳도 틀리죠 | 08:31 |
grr | 저 감압식도 손가락 으로만 필기씀 ㅋㅋㅋ | 08:31 |
drake_kr | 긍게 넥원은 htc고 넥s는 삼성 아닌가요 | 08:31 |
yemharc | 네 | 08:32 |
yemharc | 아.........그러니까 | 08:32 |
yemharc | HTC가 낸 제품중에 넥원은 실패작이란거죠 | 08:32 |
drake_kr | 아 | 08:32 |
drake_kr | 글쿤요 | 08:32 |
grr | 그렇쿤요... | 08:32 |
drake_kr | 넥s는 정말 최고의 조합인듯 | 08:32 |
grr | 레퍼부심 | 08:32 |
grr | 넥S는 최고에요. 루팅해도 정식 수리 보장해주는 폰 | 08:32 |
drake_kr | 삼성하드웨어 + 소프트웨어는 퇴출 | 08:33 |
grr | 갤럭시 시리즈가 PMP로는 정말 좋은데... | 08:33 |
yemharc | 삼성의 소프트웨어와 LGU+의 하드웨어가 만난다면 시대의 걸작이 태어날텐데 (.................) | 08:34 |
yemharc | 마치 그 무사시GUNDO와 같은............. | 08:34 |
grr | 이야..... | 08:34 |
grr | (...) | 08:34 |
grr | yemharc :: 레일라폰 혹시 실사용해 보셨나요? | 08:34 |
yemharc | 아뇨;; | 08:34 |
yemharc | 테스트 들이자는거 퇴짜놨슴다 | 08:35 |
yemharc | ... | 08:35 |
grr | 음... 평이 아주 아름다워서요 | 08:35 |
grr | 이거 1달을 쓰시면 득도를 하시고 2달을 쓰면 신선이되고 3달을 쓰면 부처가 된다구... | 08:35 |
yemharc | 그 이전에 동족 상잔의 비극이 일어나겠죠 | 08:36 |
drake_kr | 갤럭시 시리즈가 pmp로 짱? | 08:36 |
drake_kr | 아이리버보다 짱? | 08:36 |
yemharc | drake_kr, 스맛폰 중에서 화면이 졺 넓습니다 | 08:36 |
drake_kr | 근데 아이리버같은 업체는 왜 휴대폰 안 만들지.. | 08:36 |
grr | 졺 넓고 대충 넣어도 다 잘나옴 | 08:36 |
drake_kr | dell 같은데도 만드는데.. | 08:38 |
grr | 휴대폰 사업 진출은 | 08:38 |
grr | 했다는거 같은데... | 08:38 |
grr | 네이년에 검색하니 나오네요 | 08:38 |
grr | 유경에서 휴대폰 배터리 공급하면 쩔겠는데 | 08:39 |
drake_kr | 오옹 | 08:39 |
drake_kr | 외국에는 파는데 | 08:40 |
drake_kr | 한국엔 못들어온다는듯 | 08:40 |
drake_kr | 한국제품인데 한국에서 못사 ㅋㅋㅋㅋㅋㅋㅋㅋ | 08:40 |
drake_kr | 또있네 | 08:41 |
drake_kr | 출시하자마자 버스가 되었습니다 고갱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| 08:42 |
drake_kr | http://www.ppomppu.co.kr/zboard/view.php?id=review&no=21241 | 08:42 |
grr | 작업하러 | 08:51 |
grr | ㅌㅌ | 08:51 |
hanbin973 | 오늘부터 u+ 에서 4g 서비스하네요. 두달후즈음해서 폰을 살것같습니다 ㄷ ( 젭라 넥프라임 나와죠 ㅜㅜ ) | 08:58 |
Ben5 | 한국에서 | 09:21 |
Ben5 | PaaS 클라우드 서비스해주는 업체가 어디죠? | 09:21 |
Ben5 | U 클라우드 빼고 -ㅅ- 거기는 제가 가입을 못함 | 09:21 |
stack_ | 음....있나요?..ㅡ,.ㅡ;; | 09:25 |
hanbin973 | 음;; 안드로이드에서 커널 config 파일은 어떻게 찾나요? /boot 폴더 못찾겠다능 ㄷ | 09:26 |
Ben5 | 아마존 EC2같은 서비스는 없을려나ㅏ.... | 09:44 |
Ben5 | 유클라우드는 외국인은 가입안시켜준다네요 -ㅅ- | 09:44 |
stack_ | 참으로 폐색적인게 아니라....외국인 사용할수 있는 화면이나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귀찮아서 그런가..... | 09:46 |
stack_ | 음 곰곰히 생각해보니 외국인들이 굳이 유클라우드를 사용할 이유가 없군요 | 09:46 |
stack_ | 아마존 ec2같은 서비스를 우리회사에서 준비중입니다만....올해중으로 리리스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| 09:47 |
stack_ | 한국에 ec2같은 서비스는 있을려나..... | 09:48 |
stack_ | 한 호스티업체에선 가상화서버 os 인스톨하는데 3만원 받던데 | 09:48 |
stack_ | 누가 사용할지 모르지만....ㅋ...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만든지 한심.. | 09:48 |
stack_ | 입금 받고 그때서야 엔지니어들이 부랴부랴 이미지 가지고와서 인스톨하는 그런 느낌. | 09:49 |
Ben5 | SKT가 있긴한데 | 09:51 |
Ben5 | 거기는 프라이빗 으로 개인은 서비스 못받는다고 하네요 ㅠ | 09:51 |
stack_ | 기업들에세 가상서버를 제공하는 거군요...프라이빗 클라우드 | 09:51 |
stack_ | 가상서버에 게임 같은걸 돌릴리는 만무하고... | 09:52 |
shriekout | 가상서버가 얼마나 많은 부분에 이용되는데... | 09:53 |
shriekout | 굳이 게임이라고 한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요 | 09:53 |
stack_ | 그리고 실제로 물리적 서버를 다른 회사가 관리하니 멘테넌스로 가끔씩 멈춰도되는(?) 서비스를 올릴려나... | 09:54 |
stack_ | 게임이라고 한정한적 없습니다. | 09:55 |
grr | /.\ | 09:55 |
Ben5 | http://www.hostway.co.kr/cloud_flexcloud.html# | 09:56 |
Ben5 | 호스트웨이가 클라우드도 서비스하는군요 | 09:56 |
Ben5 | 근데 어쩨 가격이..;; | 09:57 |
grr | /.\ | 10:00 |
shriekout | ... | 10:07 |
stack_ | 음....서비스를 위한 거라면 cpu를 늘려야 할것 같은데...월 요금이 얼마나 될려나 | 10:11 |
stack_ | 아무래도 기본옵션의 선택의 폭이 넑은걸 보니 개인보단 기업에 제공하기위한 플랜인것 같네요 | 10:13 |
Ben5 | 월 4만원 | 10:16 |
Ben5 | 나쁘진안네요 | 10:16 |
stack_ | 넓은 | 10:16 |
Ben5 | 아까 6만원으로 잘못봄 | 10:16 |
Ben5 | =ㅅ= | 10:16 |
stack_ | 기본 옵션만 해서 4만원인가요? | 10:16 |
Ben5 | 네 | 10:16 |
stack_ | 계산을 안해봐서...ㅋ | 10:16 |
Ben5 | 로드발란싱빼고 | 10:16 |
stack_ | 음....비싼 감이 있긴한데.... | 10:16 |
stack_ | 용도에 따라 달라지겠네요...비싸다 싸다의 차이는 | 10:17 |
Ben5 | 기본사양 1 Core / 1GB Memory / 60GB Disk / IP 1개 (무상제공) / 방화벽 (무상제공) / 스냅샷 (최대 3개 무상제공) | 10:17 |
Ben5 | * 기본사양 기준 시간별 요금 67원 / 월별 요금 39,900원 | 10:17 |
stack_ | 리눅스를 공부하기위한 학생의 입장에서보면 좀 비쌀것 같긴하고 | 10:17 |
Ben5 | 여기다 트래픽 가격++++++ $$$$$ | 10:17 |
stack_ | 서비스를 위한 기업의 입장에서보면 쌀것 같기도하고 | 10:18 |
Ben5 | 공부용으로는 비싸죠-ㅅ- | 10:18 |
stack_ | 음....그런데 os의 선택 예를들어 리눅스엔 어떠한 종류의 리눅스가 있고 | 10:18 |
stack_ | 마음대로 만지다가 re인스톨은 어떻게 해야하며 | 10:19 |
stack_ | 이런옵션들은 없나요? | 10:19 |
stack_ | 제가 못 찾는것 뿐인가? | 10:19 |
stack_ | 얼마만큼 유저 인터페이스가 준비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| 10:19 |
Ben5 | 보통은 centOS 주는데 | 10:19 |
yemharc | 개인서버 세팅 의뢰가 아닌 만큼 그정도까지 세밀하게는 안해줄거에요 | 10:20 |
stack_ | 달랑 가상서버 하나에 저 정도 가격이면 무지하게 비싼건데 | 10:20 |
stack_ | 음.....자유도 측면에선 많이 부족하네요 | 10:20 |
Ben5 | 아마존이나 렉스페이스 같은데는 왠만한 os다 지원하고요 | 10:20 |
stack_ | 예를들어 유저에세 콘트롤 판넬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을 하고 | 10:20 |
Ben5 | 그런거야 다 있죠 | 10:20 |
stack_ | 그 안에서 os 인스톨을 자유롭게...물론 종류도 몇가지 있어야것죠 | 10:21 |
Ben5 | 모니터링 다 할수 있고 | 10:21 |
stack_ | 그런게 없는 상태에서의 저 가격이면 좀 비쌈.... | 10:21 |
stack_ | 다 있으면 좋구요...ㅋ | 10:21 |
Ben5 | 웹상에서 자원 늘릴수 있고 | 10:21 |
Ben5 | 이미지 백업가능하고 | 10:21 |
Ben5 | 근데 OS재설치는 우리가 임의적으로는 못할거에요 | 10:22 |
stack_ | ㅡ,.ㅡ;; | 10:22 |
stack_ | 이유가 궁금.... | 10:22 |
Ben5 | 그냥 웹상에서 가상 이미지 딜리트 하고 자동 복구 하는것만 가능 | 10:23 |
Ben5 | 이유는 아마 사용자가 SSH로 접속만 가능하는데 | 10:23 |
Ben5 | 넷 인스트나 시디 놓고 부트시키면 | 10:23 |
Ben5 | 재부팅시 가상머신이 부트단계에서 걸려요 | 10:24 |
Ben5 | 아무도 keyboard input 해줄사람이 없으니 | 10:24 |
Ben5 | 그냥 재 생각일뿐 ㅋ | 10:24 |
stack_ | 음....이해가 잘 안가네요..ㅡ,.ㅡ;; | 10:24 |
stack_ | 즉 os인스톨이 자동화가 안되기 때문에 그렇다는 건지요? | 10:25 |
Ben5 | 아 os 인스톨 자동화는되요 | 10:26 |
yemharc | 흠... | 10:27 |
stack_ | 흠..... | 10:27 |
yemharc | OS종류 선택은 지원을 안하는게 아니라 못하는거군요 | 10:27 |
stack_ | 자동화는 물론 가능... | 10:27 |
stack_ | 종류 선택은 당연히 가능 기술적으로 | 10:27 |
stack_ |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것 같은데요...ㅋ | 10:28 |
Ben5 | 유클라우드는 센트 하나만 제공해주던데... | 10:28 |
stack_ | 뭐 어떤식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.... | 10:28 |
yemharc | 하이퍼바이저라는 기술로 다중OS 지원이 가능한데, 문제는 오버헤드가 심해서 설비 비용이 높다네요 | 10:28 |
Ben5 | 렉스페이스는 센트 레드햇 우분투 윈도우 다해주더라고요 | 10:28 |
yemharc | 그리고 서버 타입별로도 가상화의 문제가 있고요 | 10:29 |
yemharc | IBM과 HP서버가 있다면 두대를 연결해서 가상화를 하는건 못한다는군요 | 10:29 |
stack_ | 엥??? 무슨 말씀이신지? | 10:29 |
Ben5 | 그렇군요 그래서 한국 기업에서는 아직 한가지 운영체제만 지원하는군요 | 10:29 |
stack_ | 즉 한대의 물리 서버에 다른 종류의 os를 돌리게 되면 오버헤드가 심해진다는 말씀이신가요? kvm의 경우..? | 10:29 |
yemharc | 그게 아니라... | 10:30 |
Ben5 | 아직 한국에선 클라우드가 활성화되지 안았으니 기술에 투자할 가치가 없고 | 10:30 |
yemharc | 일단 가상화 기술은 host os 위에 레이어를 하나 깔고 그 위에 guest os를 돌리는 구조잖아요? | 10:30 |
stack_ | 하이퍼바이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? | 10:30 |
yemharc | 근데 그 guest os가 hsot os와 같으면 host 가상화라 하고 오버헤드가 적어요 | 10:31 |
yemharc | 반대로 host os와 상관없이 다른 종류의 os 가상화를 해 주는게 하이퍼바이저인데 | 10:31 |
yemharc | 오버헤드가 host 방식에 비해 높아서 한마디로 하드웨어가 빠방하지 않으면 실제 서비스 하기에 어렵다는군요 | 10:31 |
yemharc | 그리고 서버 하드웨어 기종이 서로 다르면 서로 연동이 안되고요 | 10:32 |
yemharc | 그래서.... 불가능은 아닌데 아까 말씀하신 업체는 안하는게 아니라 못하는 쪽에 가깝지 않은가 하는거죠 | 10:32 |
yemharc | 설비 비용이 급격히 높아지니까요 | 10:32 |
stack_ | 음.....물리 서버에 가상화서버를 하나 만든다고 가정을 합시다...... | 10:32 |
stack_ | 하이퍼 바이저는 kvm이구요.....kvm만 사용해봐서 다른건 모릅니다...ㅡ,.ㅡ;; | 10:33 |
yemharc | 전 아무것도 써보지 않았습니다 ㅇㅅㅇ;; | 10:33 |
stack_ | 호스트의 os는 센트이구요 | 10:33 |
stack_ | ㅡ,.ㅡ;; | 10:33 |
yemharc | 가상화는 개념만 잡고 있죠 | 10:33 |
stack_ | 음.....결론만 말씀드리자면.... | 10:33 |
stack_ | 호스트의 os가 만약 cent일경우 | 10:34 |
stack_ | 그 위에서 움직이는 가상화서버의 os가 데비안이든 페도라든 호스트의 os와 일치하지 않다고하더라도 얼마든지 설치할수 있다....... | 10:35 |
stack_ | 입니다. | 10:35 |
stack_ | 즉... | 10:35 |
stack_ | 가상화 서버를 제공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| 10:35 |
yemharc | stack_, 그렇게 구분하면 안되죠 | 10:35 |
stack_ | 가상화서버의 종류를 다양화 하지 않은것은 유저가 원할때 | 10:35 |
yemharc | 타 OS니까 이 경우에는 센트가 깔려있다면 [리눅스 계열]을 하나로 봐야죠 | 10:35 |
stack_ | 바로 만들어 줄수있는 만큼의 자동화 api를 안만들거나 그렇지 않으면 만들만한 기술력이 없다이겠죠 | 10:36 |
yemharc | 하이퍼바이저는 예를 들면 리눅스 호스트 위에 솔라리스 BSD 윈도우같은 [완전히 다른 OS]를 돌리는거니까요 | 10:36 |
stack_ | 아...전 리눅스 계열만 놓고 이야기 한겁니다...처음부터...ㅡ,.ㅡ;; | 10:36 |
yemharc | 읭;;; 그건 하이퍼바이저가 아니잖습;; | 10:37 |
stack_ | 왜 아닌거죠? | 10:37 |
stack_ | 님이 생각하시는 하이퍼바이저의 정의가 무엇인가요? | 10:37 |
yemharc | 커널이 틀릴것 | 10:37 |
yemharc | 결국 가상화를 한다고 해도 레이어 바로 위에 붙어서 제일 밀접하게 돌아가는 녀석은 커널이죠 | 10:38 |
yemharc | 커널만 제대로 돌아가 주면 나머지는 커널이 처리할 일이지 레이어가 받아 줄 영역이 아닌거죠ㅛ | 10:38 |
yemharc | 그러니 커널로 구분해야 맞죠 | 10:38 |
yemharc | (그렇다고 리눅스 커널 2.4랑 2.6 이런거 말고요) | 10:38 |
stack_ | 하이퍼 바이저의 정의란 | 10:38 |
stack_ | 컴퓨터의 가상화 기술의 하나로써 가상화머신(가상화서버)를 실현하기위한 프로그램이죠 | 10:39 |
stack_ | 그런데 그위의 게스트os 가상화머신이 | 10:39 |
stack_ | 커넬이 틀리다고하여 kvm등이 하이퍼바이저가 안된다고 하는것은 왠지 모순 같은데요 | 10:40 |
yemharc | 안된다는게 아니라요;; | 10:40 |
stack_ | ㅡ,.ㅡ;; | 10:40 |
yemharc | 하이퍼바이저건 host 타입이건 가상화인건 매한가지고 | 10:40 |
yemharc | 방식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, 그 중에 하이퍼바이저라 구분되는 [방식]이 호스트 방식보다 오버헤드가 높다........라는거죠 | 10:41 |
yemharc | 그리고 하이퍼바이저 방식과 호스트 방식의 구분점은 커널이라 보는거구요 | 10:41 |
yemharc | 리눅스 위에 리눅스를 돌리면 가상화 기술이면서 세부적 구분으로 호스트 방식 가상화라 하는거고 | 10:42 |
yemharc | 리눅스 위에서 윈도를 돌리면 역시 가상화면서 세부적으로 하이퍼바이저 방식이라는거죠 | 10:42 |
yemharc | 그리고 거기서 반가상화(half)와 전가상화(full)로 또 나뉘구요 | 10:42 |
stack_ | 호스트 방식은 흔히 준가상화에서만 쓰여지는것 아닌가요? | 10:42 |
stack_ | 반대인가? | 10:42 |
yemharc | 전/반 가상화는 호스트냐 하이퍼냐랑은 상관없어 보이네요 | 10:43 |
yemharc |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할 것인가 축약해서 쓸 것인가의 차이니까요 | 10:43 |
yemharc | 그리고 서버 레벨의 가상화라면 아무래도 전가상화를 쓸듯 하네요 | 10:44 |
yemharc | vm에 fit시킨 드라이버가 따로 있는게 아닌 이상에야 분명 성능의 한계가 있을테니까요 | 10:44 |
stack_ | 즉,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입장에선 | 10:45 |
stack_ | 다른종류의 os를 제공하는건 안하는것이 아니라 못한다??인가요? | 10:45 |
yemharc | 중소기업 레벨이라면 아무래도 효율이 안 나올것 같네요..............음............... | 10:46 |
yemharc | 아니구나 | 10:46 |
yemharc | 주 고객층이 개인이라면 저 같아도 안합니다 | 10:46 |
yemharc | 반대로 중소기업이라고 해도 주 고객이 기업이라면 하겠죠 | 10:46 |
stack_ | 여기서 다른 종류의 os란 리눅스냐 윈도우냐 2가지만 있다고 가정 | 10:47 |
yemharc | 네 | 10:47 |
stack_ | 리눅스 유닉스 계열인경우는? | 10:47 |
yemharc | 당연히 틀리죠 | 10:47 |
yemharc | 리눅스 유닉스 솔라리스 bsd는 모두 [다른 녀석들]입니다 | 10:48 |
stack_ | 유닉스를 패스 | 10:48 |
stack_ | 리눅스로 한정 합시다 | 10:48 |
yemharc | 네 | 10:48 |
stack_ | 애시당초 유닉스 계열을 가상화한적이 없으니 | 10:48 |
stack_ | 호스트 os가 센트 입니다 | 10:48 |
stack_ | 가상화서버 os의 종류엔 | 10:49 |
stack_ | cent | 10:49 |
stack_ | debian | 10:49 |
stack_ | ubuntu | 10:49 |
stack_ | fedora | 10:49 |
stack_ | suse | 10:49 |
stack_ | 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| 10:49 |
stack_ | 자동으로 가상화서버의 종류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os를 인스톨하는건 가능?불가능? | 10:50 |
stack_ | 아니 | 10:50 |
stack_ | 안한다 못한다라고 하죠 | 10:50 |
yemharc | 그건 안한다에 가깝겠네요 | 10:50 |
stack_ |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| 10:50 |
Seony | 음.... 요즘도 분도님 잘 안오시는군요.. | 10:50 |
yemharc | Seony, 안녕하세요 | 10:50 |
stack_ | 그럼 됐습니다....저도 그렇게 생각하니 ㅋ | 10:50 |
Seony | yemharc: Hi | 10:50 |
yemharc | stack_, 방금 말하신건 호스트 방식이라 보는데, 지원을 안 하는건 결국 관리비용 증대와 귀찮음이겠죠 | 10:51 |
yemharc | 일단 각각 다른 계열인 것만 3개나 되니까요 | 10:51 |
stack_ | 관리비용이란 측면에서 보면은 | 10:51 |
Seony | MacOSX Lion의 출시예정일에 대해 7월 6일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네요.... 빨리 나왔으면 좋겠는데 ㅎㅎ | 10:51 |
stack_ | 솔직히 관리비용?이라기 보다는 준비과정의 시간소요 | 10:51 |
stack_ | 인것 같네요 | 10:52 |
yemharc | 그게 다 합쳐서 관리비용이잖아요 ㅎㅎ | 10:52 |
stack_ | 한번 만들어 놓으면 추가적인 비용.... | 10:52 |
stack_ | 그렇군요 | 10:52 |
stack_ | ㅋ | 10:52 |
yemharc | ㅎㅎ | 10:52 |
yemharc | 아, \야근때문에 저녁 먹으러 가보겠습니다. | 10:52 |
stack_ | 그렇네요...관리비용...귀찮음 | 10:52 |
stack_ | 부럽습니다. | 10:52 |
stack_ | 다녀오세요 | 10:52 |
yemharc | 흔히 말하는 가성비 (*가격 대비 성능비)죠 뭐 | 10:52 |
yemharc | 그럼 전 잠시 | 10:52 |
stack_ | 네 | 10:52 |
stack_ | 솔직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기본os(cent) 이회의 os를 선택해서 사용할지도 많무하고 | 10:53 |
stack_ | 만무 | 10:53 |
stack_ | 또 혼자인가.... | 10:54 |
Seony | 다들 바쁘신듯... | 10:54 |
stack_ | 일 많아서 좋겠네요.... | 10:55 |
stack_ | 그만큼 보람이랑 잔업비가 있다면 | 10:55 |
stack_ | 우리회산 기본적으로 방치입니다. | 10:55 |
stack_ | 무서운 회사.... | 10:55 |
Ben5 | 우리회사는 오늘부터 | 10:57 |
Ben5 | 야근식대 없애고 | 10:57 |
stack_ | 야근 수당은 있나요? | 10:58 |
Ben5 | 야근비 받는데 팀장한테 승인 받아야 야근 할수 있음 | 10:58 |
stack_ | 룰상은 그렇다는 거죠??? | 10:58 |
Ben5 | ㅎㅎ 그렇죠 ㅋㅋ | 10:58 |
stack_ | ㅋㅋ | 10:58 |
Ben5 | 눈치보여서 어떻게 승인받아요 | 10:58 |
Ben5 | 야근수당이 곧 프로젝트예산에 붙는다는데..;; | 10:58 |
stack_ | 뭐야...그냥 야근밥값 없어졌다는 거잖아....ㅋㅋㅋ | 10:58 |
stack_ | 사람을 바보로 아는것도 아니고 | 10:59 |
Ben5 | 난 좀 퇴근이후에도 자유롭게 업무보는게 조은데 | 10:59 |
stack_ | 음..... | 10:59 |
Ben5 | 다른회사는 야근수당을 어떻게 주나요? | 10:59 |
stack_ | 정시에 퇴근할수 없을만큼 일이 많아서 다들 야근하나요? | 10:59 |
stack_ | 우리회사 일정 금액만 미리 고정적으로 지급합니다. | 11:00 |
Ben5 | 네 IT회사다 보니 야근은 일상 | 11:00 |
stack_ | 뭐 그렇다고해서 월급이 많다는것이 아니라 | 11:00 |
Seony | IT 회사는 아니었지만, 제 경우는 반내림해서 무조건 시간외근무일지에 기록했었죠... | 11:00 |
Ben5 | 아 그렇군요 | 11:00 |
stack_ | 법적으로 어떻게 되어있나요? | 11:00 |
Ben5 | 저야 잘 모르죠 | 11:01 |
stack_ | 일이 얼마나 많길래 매일 야근을 하는지가 궁금.... | 11:01 |
Seony | 그때 아마 7시 이후부터는 시간외근무로 쳤었고... | 11:01 |
stack_ | 그만큼 일을 많이하면 회사나 사원들이나 부자가 되어야 되는데 말이죠 | 11:01 |
Ben5 | ㅋㅋ | 11:01 |
Seony | 그래봐야 대부분의 업무가 7시 30분 전에 끝났었으니 시간외근무로 수당받는 게 그닥 많지는 않았던 기억이 나네요.. | 11:01 |
stack_ | 야근은 안하고 수당 받지 않는것이 가장 좋을듯ㄱ | 11:01 |
stack_ | 자기 개발하고 가족들이랑 시간을 보내야지 | 11:02 |
Ben5 | 결국 저의 회사원은 야근을 안할순 없으니 | 11:02 |
Ben5 | 야근 배식안받고 | 11:02 |
stack_ | 일이 많아서? 아니면 눈치보여서? | 11:02 |
Ben5 | 야근 수당 눈치것 안받고 | 11:02 |
stack_ | 어느쪽 인가요? | 11:02 |
Ben5 | 야근함 | 11:02 |
Ben5 | -ㅅ- | 11:02 |
Ben5 | 일이 만아서요 | 11:02 |
stack_ | 일도 많고 눈치도 보이고...ㅋ | 11:02 |
stack_ | 음.... | 11:03 |
Ben5 | 저의회사는 눈치는 좀 들해요 | 11:03 |
Ben5 | 걍 자기 업무끝나면 퇴근 | 11:03 |
stack_ | 회사 입사하실때는 아침 9시부터 저녁6까지 라고 들으셨죠? | 11:03 |
Ben5 | 네 | 11:03 |
stack_ | 그렇군요 | 11:03 |
stack_ | 어느 회사든 다 똑 같죠 | 11:03 |
Ben5 | 하여간 저도 이제 퇴근해야겠어요 | 11:04 |
stack_ | ㅡ,.ㅡ;; | 11:04 |
stack_ | 수고하셨습니다. | 11:04 |
Ben5 | 야근 수당도 안주니 걍 개기고 집에가야지 ㅋ | 11:04 |
stack_ | 당연하신 말씀 | 11:04 |
Ben5 | 수고하세요 | 11:04 |
Ben5 | ㅂㅇ | 11:04 |
stack_ | 또 혼자인가...ㅡ,.ㅡ;; | 11:06 |
stack_ | 금요일 이시간엔 삼겹살을 먹어줘야 하는데.....아....그립당.... | 11:07 |
stack_ | 질문...... | 11:19 |
stack_ | 왜 트위터에 남긴 메세지는 수정할수 없는가요? | 11:19 |
stack_ | 동기화 문제인가요? | 11:19 |
Seony | 그건 여기서 물어볼 게 아니라 트위터로 직접 메일을... ㅎㅎ | 11:19 |
stack_ | 기술적인 문제는 한번 생각해 볼수 있지 않을까...라는 생각에...ㅋㅋ | 11:20 |
stack_ | 어떻게 생각하세요? | 11:20 |
stack_ | 왜 수정이 안된다고 생각하시나요? | 11:20 |
Seony | 정말로 궁금해서 물어보시는 거라면 여길 보세요. http://www.twitlonger.com/show/9sathv | 11:20 |
stack_ | 한국 말인데도 어렵다.... | 11:21 |
stack_ | 감사합니다. | 11:21 |
stack_ | 그걸 또 어떻게 그렇게 빨리 찾으셨어요 | 11:21 |
Seony | 구글링 하면 바로 나옵니다 ㅎㅎ | 11:21 |
stack_ | 그렇군요 | 11:21 |
stack_ | 전 철학적인 내용 보단 기술적으로 왜 그렇게 만들었을까라는 생각이들어 물어본겁니다. | 11:22 |
stack_ | 기술자들의 철학이 | 11:22 |
stack_ | 만약 그렇다면....아...그런거구나하고 끝날문제고....ㅡ,.ㅡ;; | 11:22 |
stack_ | yemharc님의 생각이 궁금.... | 11:23 |
Seony | 트위터를 만든 실력이라면, 수정하는 것 역시 충분히 만들 수 있었겠죠. 게시판을 생각해봐도 그까이꺼 그냥 대충 만들 수 있는 부분이니... | 11:23 |
stack_ | 왜일까요? | 11:23 |
stack_ | 진짜로 위와 같은 이유에서? | 11:23 |
stack_ | 죄송...또 질문해 버렸네요 | 11:24 |
stack_ | 만든 사람에게 물어봐야 할것을.... | 11:24 |
imsu | 아;; 스타 개털림 ㅠ.ㅠ; | 11:29 |
imsu | drake_kr, 그 때 보여주신 그 책 보면 뭐 도움이 됩니깡? ㅋㅋㅋ | 11:32 |
imsu | yemharc, 이제 정말 얼마 안남았음 ㅠ.ㅠ; | 11:33 |
imsu | Seony, 안녕하십니까 ㅋㅋ | 11:33 |
imsu | stack_, 안녕하세요 ~ ㅎㅎ | 11:33 |
Seony | imsu: Hi | 11:33 |
stack_ | 안녕하세요 | 11:33 |
imsu | Seony, 스타 개털림 ㅠ.ㅠ; 흑흑 | 11:33 |
Seony | ㅎㅎㅎ | 11:33 |
stack_ | 스타 안 한지 오래되었네요 | 11:34 |
imsu | 헤헤 | 11:34 |
imsu | 한판? ㅋㅋ | 11:34 |
stack_ | 아직 회사라...ㅋ | 11:34 |
stack_ | 아 통닭이나 삼겹살이 먹고 싶네요 | 11:34 |
imsu | stack_, 전 백수라;;; 삼겹살 비싸요~ ㅋㅋ | 11:34 |
stack_ | ㅡ,.ㅡ;; | 11:35 |
stack_ | 죄송 | 11:35 |
stack_ | 그래요 3만원이면 2명이서 배불리 먹지 않을까요? 술 안먹고 | 11:35 |
stack_ | 그래도 | 11:35 |
Seony | 삼겹살 값이 많이 올랐군... | 11:42 |
imsu | ㅎㅎㅎ | 11:42 |
imsu | Seony, 수학강사중에도 우분투를 쓰는 사람이 있네요 ㅋㅋ | 11:42 |
Seony | 그래도 옛날에 1인분에 3,300원짜리 많이 있었던 거 같은데.. | 11:42 |
Seony | imsu: 올... 포럼으로 델꾸와 ㅎㅎ | 11:43 |
imsu | 그럴까요? ㅋㅋ 제가 gimp 소개했는데 자기 우분투 유저라고 하데요 ㅋㅋ | 11:43 |
imsu | http://cafe.daum.net/beautifulmath?t__nil_cafemy=item | 11:43 |
imsu | 로그인해야하는구나 ㅋㅋ | 11:44 |
imsu | ㅈㅅ | 11:44 |
imsu | 그분 왈 ~~!! :::: 제가 운영체제를 우분투를 쓰는데, 기본탑재는 아닙니다 | 11:45 |
Seony | 혹시 웃긴 얘기야? 내가 이해를 못해서 ㅎㅎ | 11:45 |
imsu | 아니요 gimp 요 | 11:45 |
imsu | 제가 기본으로 탑재되어있다고 했거든요 ㅋㅋ | 11:46 |
Seony | 아... ㅎㅎ | 11:46 |
Seony | 김프는 기본탑재 아니지... | 11:46 |
Seony | 용량이 크고 프로그램 자체가 좀 무거워서 기본으로는 안넣어줘. | 11:46 |
imsu | 9.10 까지인가는 기본으로 되어있길래 ㅋㅋ | 11:46 |
imsu | 걍 소프트웨어 센터에 있길래요 ㅋㅋ | 11:46 |
imsu | 그럼 뭐 기본 탑재? 이럼 안되나요? ㅋㅋㅋ | 11:47 |
stack_ | 수고들하세요 | 11:47 |
Seony | 소프트웨어 센터에 있단 얘기는, 따로 다운로드하란 소리잖아. | 11:47 |
stack_ | 전 퇴급합니다. | 11:47 |
Seony | stack_: 또 뵈요 | 11:47 |
stack_ | 네...좋은 주말들 보내세요 | 11:48 |
Seony | imsu: 그럼 윈도우7에 오피스도 기본탑재라고 그러지 ㅋㅋ 그것도 다운받음 되잖아 ㅋ | 11:48 |
imsu | 헤헤 | 11:48 |
imsu | 그런가요? ㅋㅋ | 11:48 |
Seony | 뭔가 눌러서 깔아야하는 거랑, 기본으로 딸려나오는 거랑은 다르니까... | 11:48 |
imsu | 그냥 뭐 대충 얘기한건데 흑흑 | 11:48 |
Seony | 근데 뭐 우분투는 사실 크게 구분이 없긴 하다. | 11:48 |
Seony | 클릭질 몇 번만 하면 되니.. | 11:48 |
imsu | ㅇㅇ ㅎㅎ | 11:48 |
Seony | 이번에 회사에서 어도비 CS5를 살려고 하는데, 한국이랑 미국이랑 가격이 엄청나게 차이나더만... | 11:49 |
Seony | 한국 어도비 유통사는 순 날강도 수준이라더라고.... | 11:49 |
imsu | 헙헙;; | 11:50 |
Seony | 미국에서 $999인데 한국에서 430만원이래. | 11:50 |
Seony | 저 정도면 날강도 수준 아냐? | 11:50 |
imsu | 헉;;; | 11:51 |
imsu | 약 4배;; ㅋㅋ | 11:51 |
imsu | 그럼 그냥 미국용 다운 받으면 되나요? ㅋ | 11:52 |
Seony | 한글판을 쓰는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서 일부러 한글판을 쓴다고 하더라고... | 11:52 |
Seony | DTP 때문에 그렇다고 하던데... | 11:52 |
imsu | 그게 뭐에요? | 11:52 |
Seony | DTP? | 11:52 |
Seony | 음... 쉽게 말하면 출판업계 정도로 생각하면 돼. | 11:52 |
Seony | 뜻은 다르지만, 암튼 통용되는 의미는 책을 출판하는 업무 정도로... | 11:53 |
Seony | 암튼 자세한 건 나도 잘 모르겠다... 해당 국가에 출시되지 않은 타국의 버전을 쓰면 안되는 일이라도 있는건지... | 11:53 |
imsu | 흠;; | 11:54 |
imsu | 희안하네; ㅋㅋ | 11:54 |
imsu | 스타할때 A 를 그렇게 열심히 눌렀는데도 빡빡하네요 ㅋㅋ | 11:54 |
Seony | ㅎㅎ | 11:55 |
imsu | 키보드를 하나 구입해야하나; ㅋㅋ | 11:56 |
Seony | 요즘 적당하게 싼 키보드 살려면 얼마 줘야돼? | 11:57 |
Seony | 아직도 만원? | 11:57 |
imsu | 글쎄요 저도 키보드나 이런걸 돈주고 사보지 않아서 ㅎㅎ | 11:59 |
Seony | ㅎㅎㅎ | 11:59 |
Seony | 나 한국에 있을 땐 그래도 12,000원 정도면 그냥저냥 쓸만한거 샀었는데... | 11:59 |
imsu | ㅎㅎ | 12:13 |
drake_kr | 흠 | 15:24 |
semosi_Home | 계신분... 안녕하세요 | 15:36 |
Ben5 | 안녕하세요 | 15:39 |
Generated by irclog2html.py 2.7 by Marius Gedminas - find it at mg.pov.lt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