=== lex_phone_ is now known as lex_phone [06:23] 안녕하세요 [06:28] 도움이 필요해서 왔습니다. 평생을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우분투로 넘어온지 얼마안된 뉴비입니다. [06:29] 윈도우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ServerStart.bat을 우분투에서 사용하려면 Shell Script를 사용하여 ServerStart.sh로 변경해야 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여쭙게 되었습니다. [06:30] 소스코드를 올리면 안된다는 사용규칙을 읽어보았는데 Pastebin을 사용해본적이 없어 이곳에 소스코드를 올려보려합니다. 짧습니다. 이해해주시길바랍니다 . [06:30] @echo off & color 0 @@java -Xms512m -Xmx2048m -Xincgc -cp l1jserver.jar;lib\xmlapi;lib\c3p0-0.9.1.2.jar;lib\mysql-connector-java-5.1.7-bin.jar;lib\javolution.jar;lib\JTattoo-1.6.10.jar;lib\netty.jar;lib\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 newManager.LinAllManager @pause [06:31] 기존에는 위의 bat을 사용하였는데 sh로의 변경하는 방법이나 해결법, 정중히 부탁드리겠습니다. [06:41] 으음 [06:44] @ 하나를 붙이면 해당 줄의 명령을 실행시킬때 명령 내용이 화면에 나오지 않게 되는데 [06:44] 어짜피 echo off 를 첫줄에서 했기 때문에 별로 필요없을것도 같습니다만 .몇가지 테스트 좀 해보고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. [06:44] 네네 감사합니다. [06:45] 끝에 포즈는 프로그램이 죽었을때 창이 남아있게 하려고 하신건가요? 디버깅용로? [06:45] 네 그렇습니다. [06:49] java 실행되는 창을 직접 보셔야 하는경우인가요? 그냥 로그파일을 보는경우도 있거든요 [06:51] java가 실행되는 창을 직접 봐야하는 경우입니다. [06:54] 우분트는 GUI 상에서 사용하시나요? 아니면 ssh 터미널 같은 CLI 로 사용하시나요? [06:55] gui상에서 사용하려합니다. [06:56] 매니저툴을 통해서 직접 눈으로 모니터링을 해야하기때문에요. [06:57] vps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 문제때문에 putty를 혼용하기도 합니다. [07:08] gedit편집창에서 #! /bin/sh으로 변경하고 @를 없앤 상태에서 해당 .bat파일의 권한을 루트권한으로 실행을 시켜보았습니다. [07:09] 에러창이 출력되며, "ServerStart.sh"파일을 실행하지 못했습니다. [07:10] Failed to execute child process "/root/Downloads/폴더명/ServerStart.sh" (그런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없습니다). 라고 출력이 됩니다. [07:10] 우선 실행권한이 없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[07:11] ServerStart.sh파일 외에도 폴더내의 모든 권한을 [07:11] chmod +x ServerStart.sh 하신다음 [07:11] chmod로 777 권한을 주어볼까요? [07:11] 다시 실행시켜 보시기 바랍니다. [07:11] 네 777로 줘도 되긴 합니다. [07:11] 네 한번 해보겠습니다. [07:12] 말씀해주신대로 설정하였고, 리부트 해본뒤에 현상을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. [07:13] reboot 하고 재실행 시 동일한 에러창이 발생합니다. [07:13] 폴더내의 모든 파일의 권한을 변경해보고 다시 시도해볼게요. [07:13] 직접 손으로 실행하신건가요? [07:14] 네 방금은 GUI에서 실행을 했습니다. [07:15] GUI 상태에서 터미널(윈도우즈 cmd) 을 열고 손으로 파일이름을 지정하신건지요? 아니면 마우스로 더블클릭 하신건지요? [07:15] 마우스 우클릭으로 실행을 눌렀습니다. [07:16] 흐흐 간만에 가산 왔습니다~ [07:18] 가산이요? [07:18] 가산바로 옆에 독산역도 있는데 들르실 생각 없으세요? ㅎㅎㅎ [07:20] 실행을 시켰습니다. [07:21] 그러나 아직 무언가가 서로 연결이 되지 않은듯 싶습니다. [07:21] 터미널에서 ./ServerStart.sh를 실행시 [07:21] 보통은 gnome-terminal 을 연다음 [07:21] 해당파일을 손으로 쳐서 실행을 시키거든요. [07:22] 저도 GUI 상에서 프로그램 외에 쉘스크립트를 실행시켜본적이 없어서 테스트중입니다 ㅎㅎ [07:22] 클릭으로는 실행을 잘 사용하는게 아닌가 보군요. [07:22] 아는 형이 옷 좀 봐달라고 그래서 같이 아울렛 왔네요 ㅋㅋ; [07:22] 시간되시면 같이 뵈어도~ ㅎㅎ [07:24] ./ServerStart.sh:3 ./ServerStart.sh: color: not found off [07:25] Java HotSpot(TM) 64-Bit Server VM warning: Using incremental CMS is deprecated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[07:25] 실행 시 cmd창에 이런식의 문구가 쭉 출력이 됩니다. [07:25] 일단 실행은 된건가요? 음음. [07:25] 실행이 안된것같네요ㅎ [07:26] 쭉 긴 설명법같은 help창이 뜨고 [07:26] ./ServerStart.sh: 4: ./ServerStart.sh: libxmlap: not found [07:27] 자바와 연결된 약 7종의 lib가 not found가 뜨는걸 보니 [07:27] .jar파일로 구동이 되는 서버인데 윈도우에서 컴파일을 했었습니다. [07:28] 우분투에서 다시 컴파일을 돌려준뒤에 실행을 해줘야 할지 궁금합니다. [07:28] 따로 컴파일을 안하셔도 될 것 같긴 한데... [07:28] 윈도우에서의 자바와 리눅스에서의 자바는 [07:28] 저도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만. 경로만 맞으면 재컴파일 없이 돌아갈껍니다. [07:28] 동일한것인가요? [07:29] 예 자바는 네이티브 가상 머신 코드로 변환되는거라... [07:29] 그러면 오토위즈님 말씀처럼 경로만 맞다면 정상구동은 될 것같네요. [07:29] JDK가 포함된게 아니라면 오라클 JDK를 따로 설치하셔야 될 겁미다. [07:30] 혹시 몰라서 해외쪽 ask우분투에도 질문글을 올려두었는데 비추먹어버렸네요 ㅋㅋㅋ [07:30] 대부분 호환은 되는데 더러 호환되지 않는 라이브러리들이 있습니다 [07:31] 포테이토님 말씀처럼 현재 cmd창에서 연결 혹은 호환되지 않는 부분은 [07:31] 전부 라이브러리네요. [07:32] http://forum.falinux.com/zbxe/index.php?document_srl=574845&mid=lecture_tip [07:32] 여기에서 오라클 JDK 설치 참고해보시면 어떨지... [07:33] 아이고 감사합니다. [07:33] 알려주신 링크에서 다시 공부좀 하고 오겠습니다. [07:37] 직접 만드신 라이브러리가 있으신건 아닌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담ㄴ. [07:37] 아 [07:37] 스크립트에서 [07:38] \ (역슬래쉬) 를 '/' (슬래쉬) 로 변환은 해주신건가요? [07:38] ; 세미콜론도 콜론으로 : 바꿔야 했던거 같고 [07:38] ㅋㅋㅋ안했습니다 [07:39] 아그런가요 ㅋㅋ [07:39] 아이고 이런 [07:39] 지금 열어보니 [07:39] 윈도우즈에서 & 이게 리눅스에서 ; 이거거든요 [07:39] 역슬러시로 되어있는부분 [07:39] lib만 색깔이 칠해져서 표현이 되네요 [07:40] 색상이야 뭐 vi 에서 문법에따라서 읽기편하게 표시해주는 부분일거같습니다. [07:40] 한단계 더 올라갔습니다. [07:41] not found가 사라지고 [07:41] 이제 permission denied가 뜨는것보니 [07:41] 각 lib마다 권한을 바꿔주면 될것같습니다. [07:41] 우분투 버젼은 어떤걸 쓰시는 모르겠으나 [07:42] 14.04 사용합니다. [07:42] 저는 아이콘을 이렇고롬 만들었습니다 [07:42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ls -al [07:42] 합계 32 [07:42] drwxrwxrwx 2 root root 4096 1월 2 16:41 . [07:42] drwxrwxrwx 3 root root 4096 1월 2 16:18 .. [07:42] -rw-r----- 1 autowiz autowiz 9662 1월 2 16:31 java.ico [07:42] -rwxr-xr-x 1 autowiz autowiz 156 1월 2 16:35 t1.desktop [07:42] -rwxrwxrwx 1 autowiz autowiz 190 1월 2 16:41 t1.sh [07:42] -rwxrwxrwx 1 autowiz autowiz 41 1월 2 16:19 t1.sh~ [07:42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2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2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2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cat t1.sh [07:42] #!/bin/bash [07:42] cd /usr/src [07:43] java HelloWorld [07:43] echo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[07:43] echo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[07:43] echo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[07:43] read [07:43] echo Terminate [07:43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3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3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3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cat t1.desktop [07:43] [Desktop Entry] [07:43] Name=T1 [07:43] Comment=SHtest [07:43] Exec=/bomb/bomb1/t1.sh [07:43] Icon=/usr/share/icons/Humanity/mimes/22/application-x-java.svg [07:43] Terminal=true [07:43] Type=Application [07:43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3] root@ubuntu1504:/bomb/bomb1# [07:43] 핵심은 ServerStart.desktop 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아이콘이야 뭐 적당한걸로 지정해주고 . 이 desktop 이라는 아이콘을 실행해야 합니다. [07:43] sh 클릭해서 실행시킬려니 잘 안되네요 [07:44] 오호 [07:44] t1.sh 스크립트 마지막에 read 가 윈도우즈에서 pause 랑 비슷한 역활을 합니다. 엔터치면 창이 닫깁니다. [07:44] 멋집니다. [07:45] 참고 삼아 말씀드리면 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는 shell 스크립트 실행시 실행한 명령이 화면에 나오지 않습니다. [07:46] 많은 명령어 들이 정상으로 실행되고 종료될때도 화면에 별반 메시지가 나오지 않을때도 있구요. [07:46] 쉘실행시 더버기용용로 sh -x script.sh 식으로 -x 옵션을 주면 [07:46] 한줄 한줄 실행할 명령이 화면에 나옵니다. 참고하세요 [07:46] 배울게 너무나 많습니다ㅠㅠ 리눅스 쓰시는 분들은 참 대단합니다. [07:47] 뭐 그냥 조금 다르고 새로운거 뿐이지 않겠습니까 ㅎㅎ [07:48] 포테토님 저녁은 어떻게 하실거 같으세요? [07:48] 제가 저녁 사드려도 될까요? [07:49] 컵라면 정도는 사드릴 수 있는데 ^____^ [07:55] 어우...이번에는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다고 하네요 . [07:56] 자바쪽메시지 인거지요? [07:56] 전에 윈도우즈에서 실행하실때 환경에서 [07:56] 네 그런것 같습니다. [07:56] set 명령어로 나오는 환경설정을 확인해보셔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. [07:57] 그게 아니면 으음 자바버젼은 동일하게 하신건지요? [07:57] 전에 윈도우 환경에서 [07:57] 자바가 플팻폼 범용성은 있으나 버젼차이에는 쥐약이라 [07:57] java 1.8.0.66을 사용했었습니다. [07:58] 이번에도 리눅스에 동일한 버전을 설치해줬습니다. [07:58] 프로그램안에서 경로가 윈도우즈형식으로 하드코딩된 경우는 없나요? [07:58] 네 없습니다. [07:58] 프로그램 자체 설정파일도 비슷할거 같긴 합니다만. [07:59] 아까 포테이토님이 알려주신 링크클릭하면서 [07:59] 1.7자바를 설치한것같습니다. [07:59] 로그경로라던가 ... 일단 구글을 좀 찾아보고 오겠습니다. [07:59] 음..java -version했을 시에 1.8.0.66이 뜨는것보니 [08:00] 1.7이 잘못설치된건 삭제를 해봐야겠습니다 [08:00] 저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포트를 열게되나요? [08:01] 네 그렇습니다. [08:01] 헉.. 컵라면고 사주신다면 감지덕지인데...ㅋㅋ [08:01] 현재는 포트 2000으로 기본설정만 해둔상태입니다 [08:02] PotatoGim: 원래저녁은 어떻게 하실 생각이셨어요? ㅎㅎ 제가 가디로 갈까요? [08:03] https://docs.oracle.com/javase/tutorial/deployment/jar/defman.html [08:03] 에러인가요? 그냥 워닝인가요? 음... [08:03] 우선 같이 온 형님 옷을 골라 드려야 해서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..ㅋㅋ [08:04] 다음 주 첫 출근이라는데 옷을 하나도 안가져 오셨더라구요 ㅜ [08:04] 지하철 한개 차이이니 좀 있다가 일단 카톡주세요~ ㅎㅎ [08:04] 옙! ㅎㅎ [08:04] 혹시 ?같은 회사분이신가요? [08:07] 아뇨아뇨! 대학 동기입니다 ㅋㅋ [08:07] 에러입니다. [08:07] 에러가 딱 한줄이 아니시면 메시지 전체를 부탁드려도 될까요? [08:08] 행여나 민감한 정보가 있으시면 XXX 로 변환해주시구요 ㅎㅎ [08:08] 민감할건없습니다. [08:08] 메세지 전체를 보내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. [08:13] root@xxx-xxx-111-119:~/Downloads/폴더명# ./ServerStart.sh ./ServerStart.sh: 3: ./ServerStart.sh: color: not found off Java HotSpot(TM) 64-Bit Server VM warning: Using incremental CMS is deprecated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사용법: java [-options] class [args...] (클래스 실행) 또는 java [-options] -jar jarfile [args...] (jar 파일 실행) 여기서 options는 다음과 같 [08:13] 다시 보내드릴게요 [08:13] 잘못 복사했습니다. [08:14] root@xxx-xxx-111-119:~/Downloads/폴더명# ./ServerStart.sh ./ServerStart.sh: 3: ./ServerStart.sh: color: not found off Java HotSpot(TM) 64-Bit Server VM warning: Using incremental CMS is deprecated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사용법: java [-options] class [args...] (클래스 실행) [08:14] 또는 java [-options] -jar jarfile [args...] (jar 파일 실행) 여기서 options는 다음과 같습니다. [08:14] -d32 사용 가능한 경우 32비트 데이터 모델을 사용합니다. -d64 사용 가능한 경우 64비트 데이터 모델을 사용합니다. -server "server" VM을 선택합니다. 기본 VM은 server입니다.. [08:14] -cp <디렉토리 및 zip/jar 파일의 클래스 검색 경로> [08:14] -classpath <디렉토리 및 zip/jar 파일의 클래스 검색 경로> [08:14] 클래스 파일을 검색할 :(으)로 구분된 디렉토리, [08:14] JAR 아카이브 및 ZIP 아카이브 목록입니다. [08:14] -D= 시스템 속성을 설정합니다. [08:15] -verbose:[class|gc|jni] 상세 정보 출력을 사용으로 설정합니다. [08:15] -version 제품 버전을 인쇄한 후 종료합니다. [08:15] -version: 경고: 이 기능은 사용되지 않으며 [08:15] 이후 릴리스에서 제거됩니다. 실행할 버전을 지정해야 합니다. [08:15] -showversion 제품 버전을 인쇄한 후 계속합니다. [08:15] -jre-restrict-search | -no-jre-restrict-search [08:15] 경고: 이 기능은 사용되지 않으며 이후 릴리스에서 제거됩니다. [08:15] 버전 검색에서 사용자 전용 JRE를 포함/제외합니다. [08:15] -? -help 이 도움말 메시지를 인쇄합니다. [08:15] -X 비표준 옵션에 대한 도움말을 인쇄합니다. [08:16] -ea[:...|:] [08:16] 수정하신 sh 파일 전문을 부탁드립니다. [08:16] 이런식으로 쭉 출력되다가 [08:16] 자세한 내용은 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/documentation/index.html을 참조하십시오. [08:16] ./ServerStart.sh: 4: ./ServerStart.sh: lib/xmlapi: not found [08:17] 글작성이 되지 않습니다. [08:17] 아 다시 되는군요 [08:18] /root/Downloads/폴더명/lib/c3p0-0.9.1.2.jar에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. [08:18] /root/Downloads/폴더명/lib/mysql-connector-java-5.1.7-bin.jar에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. [08:18] invalid file (bad magic number): Exec format error [08:18] invalid file (bad magic number): Exec format error [08:18] /root/Downloads/폴더명/lib/netty.jar에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. [08:18] /root/Downloads/폴더명/lib/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에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. [08:18] ./ServerStart.sh: 5: ./ServerStart.sh: pause: not found [08:18] root@xxx-xxx-111-119:~/Downloads/폴더명# [08:19] 이상 ./ServerStart.sh 명령 시 출력되는 Manifest부분입니다. [08:19] 수정하신 sh 파일 전문을 부탁드립니다. [08:19] sh의 전문 보내드릴게요 [08:20] 저 jar 파일은 파일이름에 win32 라는게 있군요 으음... [08:20] #! /bin/sh [08:20] echo off & color 0 [08:20] java -Xms512m -Xmx1024m -Xincgc -cp l1jserver.jar;lib/xmlapi;lib/c3p0-0.9.1.2.jar;lib/mysql-connector-java-5.1.7-bin.jar;lib/javolution.jar;lib/JTattoo-1.6.10.jar;lib/netty.jar;lib/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 newManager.LinAllManager pause [08:20] 이상 전문 모든 내용입니다. [08:21] 세미콜론 수정 안하신건가요? [08:21] ; > : [08:21] 이렇게 가는건가요 [08:21] 넵. 그리고 [08:22] echo off & color 0 는 필요없으니 지우시구요. [08:22] pause 는 read 로 바꾸시면 될거 같습니다. [08:22] #! /bin/sh java -Xms512m -Xmx1024m -Xincgc -cp l1jserver.jar:lib/xmlapi:lib/c3p0-0.9.1.2.jar:lib/mysql-connector-java-5.1.7-bin.jar:lib/javolution.jar:lib/JTattoo-1.6.10.jar:lib/netty.jar;lib/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 newManager.LinAllManager read [08:22] 이렇게 바꾸었습니다 [08:22] 아 저기 하나더 콜론있네요 [08:22] 아 pause 는 [08:22] echo Pause ... [08:22] read [08:22] 이렇게 두줄로 바꾸시면 될거 같습니다. [08:23] #! /bin/sh java -Xms512m -Xmx1024m -Xincgc -cp l1jserver.jar:lib/xmlapi:lib/c3p0-0.9.1.2.jar:lib/mysql-connector-java-5.1.7-bin.jar:lib/javolution.jar:lib/JTattoo-1.6.10.jar:lib/netty.jar:lib/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 newManager.LinAllManager echo Pause ... read [08:23] 이야!!!!!!!!! [08:24] 성공!!했습니다 [08:24] 로딩 쭉 올라가는데 마지막에 [08:24] Exception in thread "AWT-EventQueue-0" java.lang.UnsatisfiedLinkError: Could not load SWT library. Reasons: [08:24] 이벤트 쿼크라... [08:25] 이클립스 sdk 파일은 아마도 교체를 해야할듯한 느낌이 듭니다. [08:26] 기존것은 삭제하고 [08:26] 다른 버전으로 설치를 해야할까요 [08:27] 이클립스 SDK 에 있는 jar 파일만 리눅스용으로 받아서 설치를 하거나 [08:27] 이클립스를 설치해야 할거 같습니다. [08:27] 지금 생각해보니 [08:28] 4.3 버젼을 테스트삼아 받고 있는데 받아서 풀어보고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. [08:28] 환경변수도 바꿔주지 않았네요 [08:28] 네 감사합니다. [08:33] ftp://ftp.ie.debian.org/disk1/download.sourceforge.net/pub/sourceforge/b/bu/buckyexamples/bucky-myeclipsesdk/updates/plugins/org.eclipse.swt.gtk.linux.x86_64_3.100.1.v4234e.jar [08:33] 이 파일을 받으셔서 저장하시고 sh 파일에서 jar 파일 이름을 바꿔보시기 바랍니다 ^^ [08:35] 네 해보겠습니다. [08:40] 해당 파일을 저장하였습니다. [08:40] sh파일에서 jar파일 이름을 어떤식으로 바꿔줘야 하는지요. [08:40] 점점 제가 이해할수 있는 부분에서 멀어지고 있습니다.ㅠ [08:41] lib\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 [08:41] 이부분을 [08:41] 아아 네 이제 바로 알겠습니다. [08:42] lib/org.eclipse.swt.gtk.linux.x86_64_3.100.1.v4234e.jar 이렇고롬 ㅎㅎ [08:42] 변경해주었습니다. [08:42] 다시 실행을 해보게씃빈다. [08:44] Java HotSpot(TM) 64-Bit Server VM warning: Using incremental CMS is deprecated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[08:44] Error: A JNI error has occurred, please check your installation and try again [08:44] 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NoClassDefFoundError: org/eclipse/swt/events/ShellListener [08:44] at java.lang.Class.getDeclaredMethods0(Native Method) [08:44] at java.lang.Class.privateGetDeclaredMethods(Class.java:2701) [08:44] 이런식으로 에러가 발생되고있습니다. [08:47] 미국 텍사스는 오늘부터 총을 차고다녀도 합법이라네요. [08:48] 오토위즈님 아마 여기가 텍사스였다면 저를 쏴죽이셨을것같습니다. [08:48] 조금 무서울듯 합니다 ㅠㅠ [08:48] 제가 한총 쏩니다 ㅎㅎ 훈련소에서 17/20 명중 [08:48] 식당에서 음식 주문하는 사람들... http://coresos.phinf.naver.net/a/2ge33c_0/0geUd015rhh3u84xs1nk_fsqec7.jpg [08:48] 안경도 안쓰고 ㅋㅋ [08:48] 이제 사람들 사이에서 총 자랑하는 사람들 좀 생기겠네요 [08:49] M16에 유탄발사기 장착하고 레이저 조준경에 소음기 달고.. [08:49] 그 득득이라고 하나요? 뱅글뱅글 돌아가는 머신건 들고 나오는사람은 없기를 바래봅니다 ㅎㅎ [08:49] 딴 사람 들고댕기는거 탐나서 암살하는 현상이 생길지도... [08:49] 그냥 봐서는 전쟁터같네요. [08:49] 뭐 암튼 미친 동네네요 
 [08:49] 텍사스는 예전부터 좀 거친 그런 느낌이라 [08:50] 서니님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맛난거도 많이 드시고 , 무엇보다 즐겜 또 즐겜 하시기를 바라옵니다 ㅎㅎ [08:50] 네 감사합니다. autowiz님도 새해는 올해보다 일 좀 덜하시고 잠은 더 많이 주무시는 해가 되세요 [08:50] 한때 BB탄총이 국내법상 크게 재제를 받지 않는 시절에 튜닝해서 콜라병 깨고 그러고 놀았었는데 [08:51] 일 좀 덜하고 잠은 많이 주무시는 한 해에서 극 공감이 가는군요. [08:51] Open Carry 가 AZ에서는 이미 몇년전부터 시행중, TX만 오늘부터. ㅋ [08:52] 아 그런거군요... [08:52] ^^ [08:53] AZ 는 오즈의 준말 인가요 ㅋㅋㅋㅋ [08:53] 애리조나 [08:53] ㅋㅋㅋ [08:53] 절묘하네요 [08:54] 저도 몸속에 총이 ... 쿨럭 .... 아아 아닙니다 ㅎㅎ [08:58] tofman: # apt-get install eclipse-platform 해보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. [08:59] 79개 패키지를 연달아 설치하기는 하는데 [08:59] 제가 당장 떠오로는방법중에는 저게 맞을 거 같습니다. [08:59] 네 설치중입니다.^^ [09:00] 설치 완료 하였습니다. [09:00] 재부팅 한번 하겠습니다. [09:01] 혹시 eclipse swt 관련 파일이 새로 설치 됐을수 도 있으니 sh 파일에서 swt ~~ jar 파일을 새로 지정해야 할 수 도 있겠습니다. [09:02] 아까 보내주신 org.eclipse.swt.win32.win32.x86_64_3.100.1.v4234e.jar <<이것은 lib에 옮겨놓고서 .jar에서도 기존의 것은 빼고 내용을 추가해주면 되는거였지요? [09:02] 네 맞습니다. [09:03] 아직은 아까와 동일한 에러가 뜨고있습니다. [09:03] 이번에 apt-get 하면서 수동으로 설치한 jar 파일말고 우분투 저장소에 있던 파일이 설치됐을 수 도있어서 확인은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. [09:04] 혹시 모르니 이전 윈도우증 파일이랑 수동다운로드 한 파일을 임시디렉토리(아무거나) 만들어서 옮겨보시기 바랍니다. [09:04] 혹시라도 디렉토리에 있는 jar 파일을 전부 로드해버리는경우가 있어서 [09:06] 다시 한번만 설명 부탁드립니다. [09:07] 윈도우즈용 swt.jar 파일이랑 제가 url 드려서 다운로드 받은 swt .jar 파일을 완전 외부 디렉토리로 이동시켜놓고 다시 실행해봤으면 합니다. [09:08] 네, 둘 다 외부 디렉토리로 잘라내어서 옮겼습니다. [09:08] 그리고 다시 ./ServerStart.sh를 실행했습니다. [09:08] Java HotSpot(TM) 64-Bit Server VM warning: Using incremental CMS is deprecated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[09:08] 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NoClassDefFoundError: org/eclipse/swt/events/ShellListener [09:09] 아직 동일한 내용의 에러가 발생하고있습니다. [09:09] 현재 설치된 자바의 버전이 1.8.0_66인데 이것과도 관계가 있을 수 있을까요 [09:09] 글쎄요 버젼문제가 아닐거 같긴 합니다만. [09:10] Error: A JNI error has occurred, please check your installation and try again 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NoClassDefFoundError: org/eclipse/swt/events/ShellListener [09:10] 라이브러리 파일들은 잘 찾아가고 있나요? [09:10] ls 명령으로 하나하나 다시 확인해보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. [09:10] 네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. [09:11] lib/org.eclipse.swt.gtk.linux.x86_64_3.100.1.v4234e.jar 파일이 권한이 낮게 설정되어있습니다. [09:13] chmod +x org.eclipse.swt.gtk.linux.x86_64_3.100.1.v4234e.jar로 재설정 하였으나 아직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고있습니다. [09:13] 일단 다른 파일들하고 동일하게 맞춰주십시요 [09:13] 네 현재 모든 파일과 동일한 권한으로 변경해주었습니다. [09:26] 죄송합니다 eclipse-platform 하고는 거의 상관이 없는거 같습니다. [09:27] # apt-get install libswt-gtk-3-java 하신다음. [09:28] 네 완료하였습니다. [09:29] /usr/lib/java/swt-gtk-3.8.2.jar 이걸로 sh 파일의 classpath 를 변경해봤으면 합니다. [09:29] sh 파일은 복사를 하나 해두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. [09:29] 네 한번 해보겠습니다. 잠시만요 [09:29] (아 저는 지금 15.04 라서 버젼숫자는 좀 다를 수 있으니 파일이 없으면 손으로 찾아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ㅠㅠ ) [09:30] /usr/lib/java/swt-gtk-3.8.2.jar 이걸로 sh 파일의 classpath 를 변경해봤으면 합니다. [09:31] 이부분은 [09:31] 어떤식으로 해야 하는지 감이 오질 않습니다. [09:31] 아하 이제 알겠습니다. [09:32] "lib/org.eclipse.swt.gtk.linux.x86_64_3.100.1.v4234e.jar" [09:32] --> "/usr/lib/java/swt-gtk-3.8.2.jar" [09:32] 파일시스템 > /usr / [09:32] 이렇게 한번 해봤으면 합니다. [09:33] Classpath를 gedit으로 열어봤습니다. [09:33] path경로가 뭔가 제 눈에 익숙한 경로로 저장되어있습니다. [09:34] 모두 윈도우 경로인것같습니다. [09:34] Classpath 파일을 어느시점에서 로딩하는지모르겠으나 일단 수정을 한번 해봐야 하겠네요 [09:35] 모든 패스의 경로를 현재 리눅스에서의 경로로 전부 수정을 한번 해보겠습니다. [09:35] 그리고 알려주신 usr/lib/java/swt-gtk-3.8.2.jar << 이경로로도 함께 수정해보겠습니다. [09:40] 전부 경로 수정하였습니다. .classpath에서 usr/lib/java/swt-gtk-3.8.2.jar으로도 수정을 하였습니다. [09:41] 서버스타트 시 아직 동일한 현상이 계속 발생합니다. [09:41] 프로그램은 자체 개발하신건가요? [09:42] 혹시나 해서 한가지만 usr/~~ 가 아니라 /usr/~~ 입니다. [09:42] 네 슬러시 포함해줬습니다. [09:43] 프로그램은 자체개발하지 않았고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여러사람이 함께 개발하던 것입니다. [09:43] 휴일인데 고생이 많으시네요 ㅠㅠ 회사에 다른 개발자분은 안계시나요? ㅎㅎ [09:45] 아 ...오늘 휴일이었군요 [09:45] 저보다도 위즈님이 너무 고생많으셔서 [09:45] 아 그렇네요... [09:45] 휴일이였어요.. [09:45] 더이상 질문드리기도 미안스럽습니다. [09:45] 원래 한시간전부터 질문드리기 미안해서 쩔쩔매는 중인데 너무 친절하게 잘알려주셔서 [09:46] 괜찮아요 그럴땐 소고기 사달라고 하시면 돼요 [09:46] autowiz: 님 소괴기 사주세요 2016년산으로 [09:46] 힘내서 하고있는데 저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ㅠ [09:46] ㅋㅋㅋ [09:46] 잠시 쉬어가는 틈에 담배나 하나 피우고 와야겠습니다. [09:46] 2016년 산 이면 올해 태어난 소고기를 말씀하시는건가요? [09:47] 한 몇달에서 몇년은 기다려야 먹어볼 수 있을거 같은데요 ㅋㅋㅋ [09:47] 담배는 나의 힘이니깐 ㅋ [09:47] 저도 소고기를 언제 먹어봤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. [09:47] 최근에 먹은 소고기라고는 신라면 블랙이 전부입니다 ㅋㅋㅋ [09:47] 어제 친구들 만나서 우삼겹이랑 뭐 등등 먹고 왔습니다 ㅎㅎ [09:53] 저도 우삼겹 참 좋아하는데요 ㅎㅎ [09:58] 저는 일단은 혹시 모르니 리눅스상에서 이클립스를 이용한 컴파일을 시도해보겠습니다. 원래는 .classpath가 컴파일시 자동으로 잡아주기도 하니까, 1%희망을 가지고 시도해보려합니다. [10:05] 제가 원격으로 붙어서 보거나 해당 프로그램 디렉토리를 다운받아서 테스트하기엔 무리가 있을려나요? [10:08] 원격으로 보셔도 무관합니다. [10:08] 손으로 java 명령줄 실행시키실때 [10:09] 음 그러면 쿼리로 원격접속정보를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? [10:17] 이해도 빠르고 에티켓도 잘 아신다? 고수인 듯. [10:25] 혹시 이거 실행되면 java GUI 창이 뜨나요? [10:31] 넵 [10:37] 집에서 웹서버를 테스트용으로 돌리려고 하는데요, 내부ip로는 정상적으로 실행되는데, 외부ip에서 접속이 안됩니다. 포트포워딩을 안 할때는 공유기설정 화면으로 접속되고, 8080이나 80으로 포트포워딩 적용하면, 연결이 안되고 계속 로딩만 됩니다.. [10:37] 운영체제 방화벽 문제는 아닌거 같은데.. ufw 꺼둬도 문제는 없습니다 ㅜㅜ [10:38] 포트포워딩 할때 외부 포트번호랑 , 내부 IP , 내부 port 번호가 잘 세팅이 됐는지 확인해보셔야 할거 같습니다. [10:39] 외부 8080 - 내부 8080 이랑 외부 80 - 내부 80 으로 열어두었습니다. ip도 서버 ip랑 일치시켰구요 [10:39] 80포트는 막는경우가 있다고 해서 일부러 8080도 열어서 같이 테스트하고 있긴합니다만.. ㅜㅜ [10:40] 혹시 공유기에 더 다른 설정을 해줘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 [10:40] 혹시 모르니가 8080 이외에 다른포트로도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. 완전 엉뚱한걸로요 [10:40] 20480 이런건 어떠신지요? [10:41] 앗 좋은생각이네요 ! 시도해보겠습니다. [10:44] 외부 24800- 내부 8080 연결이 안됩니다 ㅜ [10:44] 따로 설정을 안 줬을때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는 잘 연결이 되는데.. [10:46] 내부는 8080으로 설정하신게 맞나요? [10:46] OS 는 우분투 이시구요? [10:46] 네네 맞습니다 ㅜ [10:46] 내부 IP 도 정확하게 하셨다고 치고 [10:46] 리눅스 민트이긴 한데, 우분투 기반이라 [10:46] 같게 생각해도 거의 무방한듯 싶습니다 [10:47] 익스플로러 사용하신건 아니시지요? (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포트 바뀌면 http:// 꼭 붙여줘야 해서 [10:48] 네네 파폭사용하고 있습니다 [10:48] 설정 저장 적용도 하셨을거고 [10:48] 공유기 설정 페이지는 몇번 포트인가요? [10:49] 외부에서 공유기 설정 들어갈때 포트를 따로 지정해야 할텐데요 [10:49] 설정적용을 안하면 80번 포트가 default입니다 [10:49] 음.. 그럼 공유기 포트를 바꿔보고 [10:49] 다시 시도를 한번해볼게요 [10:49] 공유기 설정 페이지를 8080 으로 바꾸고 nat 포트포워딩을 80 포트로 하고 다시 테스트 해봅시다 [10:50] 공유기 설정페이지 접속할때 내부에서 접속할때랑 외부에서 접속할때랑 포트가 각각 따로 지정 됩니다. [11:01] dmz 막힌 거 아녀요? [11:03] 설정하다가 "내부 PC에서 포트포워딩 설정한 내부 PC에 WAN IP 주소로 접속 허용 (Inner Masquerade)" 라는 항목을 발견했습니다. [11:04] 해당 항목이 사용안함으로 되어 있어서 내부에서 외부 ip로 접속이 안되어서 계속 확인이 안됬던것같습니다. [11:04] dmz 내부 ip 열어 놓았을까요? [11:05] 프록시 안통하고 내부단에서 외부ip 로 접속하면 테스트가 안됩니다.(기본적으로는) [11:05] dmz설정은 안 해뒀었습니다. [11:05] 제가 글 첨을 잘못봤나?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dmz 열어 줘야 합니다. [11:07] 음.. 해당 사용하는 포트만 열어주면 되는것 아닌가요? dmz의 경우에는 ip에 해당하는 모든 포트를 개방하는거라 보안에 취약하다고 들었었습니다. [11:07] 웹서비스만 확인하려고 80번이나 8080번만 열었었구요. [11:07] 공유기 dmz 랑 방화벽 dmz 랑 조금 용어의 용도가 달라서 [11:08] 어렵네요 ㅜㅜ [11:08] 음.. 일단은 해결이 되었습니다 ㅜㅜ [11:09] 오늘 이것때문에 세네시간 잡아먹었는데, 허무하기도 하네요 [11:10] 첫경험은 누구나 있는법이지요. 다음부터는 proxy 서버나 핸드폰으로 테스트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. [11:12] 네 도움 감사드립니다! [11:13] Harvey_ Kim: 다시 봤는데, 공유기 DMZ 열어야 합니다. [11:59] tofman: 일단 잘 돌아가는거 같긴 합니다만. [12:01] 22 붙은 풀더가 있으니 거기 ServerStart.sh 참고하시구요 [12:02] 저는 저녁먹으로 좀 다녀오겠습니다. 여건이 되면 핸폰으로 들어와 보겠습니다. [12:08] http://mlbpark.donga.com/mbs/articleV.php?mbsC=bullpen2&mbsIdx=4065895&cpage=1 [15:04] Tofman: 터미널 실행하실때 [15:04] echo DISPLAY 결과는 어떻게 나오시나요? [15:06] 네 잠시만요, 확인 해보겠습니다. [15:09] Error: A JNI error has occurred, please check your installation and try again [15:09] 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NoClassDefFoundError: org/eclipse/swt/event s/ShellListener [15:09] at java.lang.Class.getDeclaredMethods0(Native Method) [15:09] 쿼리로 대화 걸어드릴게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