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01:23] 안녕하세요~ [01:23] 무사히 도착햇씁니다 [01:23] 울진입니다 [01:24] 아침 소여물 주고서 다시 백암온천왔어유 [01:24] 750km 장거리 운전후 하나 깨달았네유 [01:24] 서울은 노후 경유차 벌금 시행을 유보하고 있다는 사실요 [01:25] 제 쏘렌토가 2007년형인데 아직 노후 경유차 관련 벌금 고지서가 안옵니다 [01:25] 서울은 한달에 한번씩 갔다오는데도요 [01:25] 싱기하더이다... [01:26] 왜 그런가는 서울시에서만 알겠지만 대략 추측컨데 [01:26] 강변북로에 보니 여전히 노후 경유차로 보이는 차들이 많이들 다니더라구요 [01:26] 덤프 트럭/ 대형 화물차 배달/ 등등... [01:27] 상황이 이럴진데... 벌금 고지서 보내면,,, 생계형 운전에 대한 테러라 여겨질거 같다는 [01:27] 생각이 들었어요 [01:27] 다들 밥묵고 살라고 장거리 운전 쎄빠지게 중간에 휴게소 들리어 밥 한그릇 먹는 시간도 [01:27] 아까워 오줌만 누고 계속 밟아서 서울 왓는데 [01:27] 노후 경유차라고 벌금 고지서 똿 보내면 [01:28] 정말 그 분노가 어머어마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씁니다 [01:28] 그래서 시행을 유보하고 있지 않을까! [01:28] 이런 생각이 들었네요 [01:29] 콤푸타 처럼 딱 0과 1로 딱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이야그 [01:30] 머 하여간 서울가서 집사람 큰딸 작은딸과 시간보내고 화요일날 어린이집까지 태워다 [01:30] 주고 내려왔네유 [01:30] 집은 서교동/ 어린이집은 암사동 [01:31] 작은딸은 아직 어린지라 이거저것 돌발행동이 귀여운데,, 큰딸은 다 커서 그런지 그 런 [01:31] 돌발행동이 안귀엽데요~ [01:32] 이게 참 시간이 흐르매 사람의 마음이 이렇게 변하네요 [01:58] 안녕하세요 [02:03] 오 [02:03] 서니님 안녕하세여! [02:04] 소식 있어서 잠시 남깁니다... [02:04] https://bugs.debian.org/cgi-bin/bugreport.cgi?bug=967649 [02:04] 나비에 관련된 소식이지만 그보다 gtk2 <-> gtk3 에 관한 대변혁에 관한 소식입니다 [02:04] gtk2 는 이제 데비안에서 사라지고... [02:05] 아하 그렇군요. 저는 나비를 안써서 몰랐네요 [02:05] gtk3 만 남기려는 데비안 플젝의 의지.. [02:05] 이게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... [02:05] gtk2 ===> X11(Xorg) [02:05] gtk3 ===> Wayland [02:05] 이걸로 정리됩니다 [02:06] 그렇군요 [02:06] 그라설라무네 gtk2 가 다 사라지면 이제 개발자들이 Xorg 를 지원할 명분이 사라지게 되는.. [02:06] 음... Bullseye 에서는 다 사라질지 아직 물음표입니다 [02:06] 파이썬의 사례만 보더라도 python2 를 레거시로 남겨두었듯... [02:07] gtk2 도 레거시로 설치가 가능할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[02:07] xorg가 gtk3이랑 같이 잘 작동하지 않나요? [02:07] 이왕이면 wayland 를 써겠져 아마도? [02:07] 두개를 지원할라카믄 얼매나 번거로울까 싶어요 [02:07] 제가 알기로 gtk3 써온지 오래 된 걸로 알고있거든요 [02:08] 음... [02:08] 제가 콤푸타 처럼 딱 0 1로 나누듯 이분법적으로 해석했군요 [02:08] 이건 논쟁의 여지가 있네용 [02:08] 하여간 변화가 점점... wayland 쪽으로 간다는걸 이야기 하고 싶었어용 [02:08] 오히려 gtk2로 만들어진 프로그램 보기가 더 어려울 거에요 [02:09] 마자요!!! [02:09] 에... 그럼 bullseye 야 말로 진정한 마지막 Xorg 배포판이될거 같아요 [02:09] 데비안 11 bullseye [02:09] 정말 역사적 배포판이 되지 않을까싶네요 [02:10] 우분투는 20.4 [02:10] 20.04 내부 코드명이 bullseye [02:10] 믄가 지금 우리들은 과도기를 걸어가고 있는거 같아요 [02:10] xorg 와 wayland 가 공존하는 시대... [02:11] ㅎㅎ 리눅스의 발전속도가 워낙 빠르다보니 계속해서 과도기죠 ㅎㅎ [02:11] 리눅스용 게임 개발자들이 참 머리털 많이 빠지지 싶어요 [02:11] 옛날에 리눅스 커널 1.8대에서 2.0 올라갈 때 모듈화 되는 것만 해도 과도기라고 했었거든요 ㅎㅎ [02:11] 오 [02:11] 그 시대를 기억하는 서니님! [02:12] 기억할 수 밖에 없는 게, 당시는 무조건 커널을 컴파일해서 썼었거든요 [02:12] ㅎㅎㅎ [02:12] 그래서 커널 컴파일 옵션을 다 기억하고 있어야했어요 [02:12] 저도 잠시 그랬던... [02:12] 하지만 지금은 의미없는 그냥저냥 크롬북에서 돌아가만 가도 감지덕지 [02:13] 네 지금은 커널 옵션이 너무 복잡하기도 하고, 모듈로 빼면 안되는 걸 모듈로 컴파일했을 때 패닉이 나는 경우가 많아요 [02:13] 저 아직 리눅스 커널 판번호 3.18 입니다 [02:13] 이야 서니님 진짜 커널 컴파일 많이 하셨나바요~ [02:13] 네 거의 밥먹듯이 했어요 [02:13] ㅎㅎ [02:14] 참 시간이 많이 지나서 지금은 커널 판번호는 안궁금하고 [02:14] 지금도 잘 이해가 안가는 게, 모듈로 컴파일하면 안되는 기능을 왜 모듈로 가능하게 해놨을까 하는 점... ㅎㅎ [02:14] 아... 정말 그건 싱기하네요 논리적 오류! [02:15] 참 [02:15] 그보다 [02:15] 파이썬 [02:15] 접때 써니님 GIL 이야기 해주셨자나요 [02:15] 네 아마 그랬을 거에요 [02:15] 그 GIL 이랑 클리랑 새소식에 GIT 이랑 관련이 있는건가요? [02:16] git은 토발즈가 만든 프로그램일텐데요 [02:16] https://www.clien.net/service/board/news/15541472?od=T31&po=0&category=&groupCd= [02:16] 아 git 아니고 jit [02:16] GIT이 아니라 JIT이군요 [02:17] spq! [02:17] 넵! [02:17] 서니님의 논평이 궁금하더이다... [02:17] pypy에서 싸용하는 것과 동일한 기술이라네요 [02:17] 그럼 빠르겠네요 [02:17] 그럼 pypy 에선 GIL 문제점이 고쳐졌나요? [02:18] 아뇨 그건 파이썬 자체를 재설계해야 해결되는 문제구요 [02:18] 저 글에서 말하는 pypy 같은 데에서 연구하는 파이썬 속도향상은 일반인 수준에서는 의미가 없어요 [02:18] 그럼 여전히 GIL 문제점은 미해결인거군요;;; [02:18] 미해결이 아니라 해결이 안될 걸요 [02:19] 이야 GIL 이란게 참 믄가 복잡한거군요,,, [02:19] 제가 알기로 해결이 안되는 문제이라서 해결할 생각이 없는 거 같던데요 [02:20] 그럼 GIL 문제점이 발생할거 같은 영역엔 어쩔 수 없이 다른 언어를 써야 하는건가요? [02:20] 이를테면 Go 언어? [02:20] 네 그래서 그런 부분에서는 파이썬을 안쓰잖아요 [02:20] 음... [02:20] 애초에 속도 문제도 있고 [02:21] 파이썬은 그냥 접착제 언어나 스크립트, 웹사이트에 많이 쓰이지 않나 싶네요 [02:21] 음 그렇다면 속도에 민감한 영역에선 어쩔수없이 파이썬은 배제되겠네요... [02:21] 속도랑 대규모 연산이 중요한 곳에서는 C, C++, 자바를 쓰는 걸로 알고있어요 [02:22] 음 이제 공감이 갑니다 [02:23] 다행히도 전 속도에 민감한 작업이 없어서 정말 좋아요 GIL 문제점을 만날일이 없는... - _ - [02:23] 저는 제가 직접 개발하는 건 아니지만, 파이썬으로 운영하는 게임을 이용하는 입장에서는 자주 만납니다 ㅎㅎ [02:24] 아 그때 그 이야기 기억납니다 [02:24] 라면묵고 온다는 이야기... [02:24] 총 한방 쏘고 라면묵고 오고 [02:24] 지난 달에도 비슷한 사건이 터져서 기네스북에 올랐어요 [02:24] 와 [02:24] 어떤 성계에서 전쟁이 났는데, 거기에 8천명 넘게 모였거든요 [02:24] 뭐 하나 하는데 5분 걸리더라구요 [02:25] 이야~ [02:25] 여기저기 뉴스에는 온라인 게임 역사적인 사건이 났니 어쩌니 하지만, 정작 게임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짜증이... [02:26] 총 한발 쏘고오는데 30분이나 걸려서 [02:26] ㅎㅎㅎ [02:26] 암튼 좀 힘들었어요 ㅎㅎ [02:26] 30분이면 정말 라면묵어도 될 시간... [02:26] 공감공감;;; [02:27] GIL 문제점을 해결못하면 왜 저 사람들은 JIT 이란걸 개발하려하나요,,, [02:27] 믄가 의미없는 삽질처럼 느껴지네요 [02:27] 그거랑 그거랑은 다른 문제거든요 [02:27] 음... [02:27] GIL은 아까도 말씀드렸지만, 파이썬 자체를 다시 설계해야 해결이 가능한 문제이고, [02:27] JIT은 파이썬 스크립트의 실행속도 향상을 위한 얘기거든요 [02:28] 음... [02:28] 쉽게 말씀드리자면, 리눅스 커널 지금까지 개발된걸 전부 취소하고 다시 만들어야한다는 소리에요 [02:28] jit 이 그런 의미인가요... 그럼 미친 소리네유;;;; [02:28] JIT이 아니라 GIL요 [02:29] 아 gil ;;; [02:29] 넵; [02:29] gil 문제점 해결하면 노벨상 받나요? [02:30] 그 정도로 노벨상 주나요? ㅎㅎ [02:30] 귀도가 만들어서 주지 않을까 할 정도로 골치 아픈 문제 같아보여서요;;; [02:32] 어떤 아인슈타인 만큼 수학적으로 뛰어난 콤푸타 천재가 나타나서 어느날 패치파일을 [02:32] 제출하는데... [02:32] 그게 GIL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을까요? 먼훗날 미래에 언젠가는... [02:33] 음... 저는 잘 모르겠네요 ㅎㅎ. 파이썬에 멀티프로세싱을 요구할 정도로 큰 프로그램이 없다보니... [02:34] 그럼 그 게임 총쏘고 30분 걸리는 그 게임이 바로 GIL 문제점의 현실 사례라는거죠? [02:34] 라면 먹고 오는 게임... [02:34] 네 제가 알기로 그렇다고는 하는데, 실제로 얼마나 크게 영향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[02:34] 넵;;; [02:34] 일단 설명 감사해요~ 써니님~ [02:34] 다른 기술을 이용해서 해결하려고 하는 중인데, 잘 되고 있는 거 같더라구요 [02:35] 다른 기술이라 함은..? 믈까요 또 궁금하네유;;; [02:36] 영국의 Hadean이라는 회사가 개발한 기술인데, [02:36] 정확한 설명이 없어서 확실히는 모르겠지만, 시스템에 부하가 늘어날 경우 가상머신을 순간적으로 급격히 늘리는 기술 같아요 [02:37] 음... [02:37] 제가 하는 게임사가 여기 회사 기술로 베타테스트를 3번인가 했는데, 전부 동시접속 1만명 이상을 아무 문제 없이 처리했거든요 [02:37] 음... [02:38] 이야 그럼 파이썬 GIL 문제점은 문제가 아니게 되는거네요... [02:38]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연상되는... [02:39] 네 근데 베타테스트를 했다는 정도지, 실제로 서비스에 적용할지 안할지 모르는 부분이고, 내부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몰라서 모르겠어요 [02:39] 잘 될거 같아요 제 생각에도요~ [02:39] 개발사 입장에서 게이머들한테 그런것까지 알려주진 않거든요 [02:39] 넹넹; [02:41] 아따 밥묵고 합시다~ [02:41] 써니님 이야기 고마워요~ [02:41] 전 이만 들어갑니다 [02:42] 네 들어가세요 [02:42] 서니님 그리고 모두다 존 하루요~~ [02:42] 냅!~ [02:42] 꾸벅/